즐겨찾기+  날짜 : 2025-08-17 04:08:23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향우문화

정영기 향우, 첫 시집 ‘답신’ 출간

문학의 집 시화전 통해 문인사회 주목
“간절하게 애틋한 思婦曲” 평가 받아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입력 : 2020년 11월 12일
정영기 향우, 첫 시집 ‘답신’ 출간

문학의 집 시화전 통해 문인사회 주목
“간절하게 애틋한 思婦曲” 평가 받아
ⓒ 의령신문
ⓒ 의령신문

정영기(필명 里春.사진) 재경 부림면 향우의 첫 시집 ‘답신’(答信:코드미디어,2018.1)이 발간 2년여 만에 문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고 있다.
자연을 사랑하는 문학의 집.서울(이사장 김후란)이 서울특별시와 유한킴벌리 후원으로 2020 기획 시화전(문학의 집 서울 제1전시실,10.5~31)을 이춘 씨를 비롯한 이명지 한국문인협회 수필교수 등 5인의 대표 시 작품을 초대하여 ‘문인의 방’이란 이름으로 열게 되면서 많은 관람자들의 관심과 호평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춘 시인은 이 초대 시화전에 첫 시집인 ‘답신’에 발표된 대표 시 ‘답신’, ‘나비’(시집 P.89), ‘까마중이라는 풀’ 등 7편의 시를 출품했으며, 이 시의 배경 화는 예명 ‘단산’이란 원로화백의 재능기부로 이뤄졌다.
이 시집 ‘답신’은 제1편 ‘10월의 밤은’(답신 외 16편), 제2편 ‘바쁜 웃음 꽃’(바쁜 웃음 꽃 외 16편), 제3편 ‘빛과 어둠 사이’(풋잠 외 16편), 제4편 ‘풀린 못가에서’(나비 외 17편) 등 총 5편에 걸쳐 69편의 시를게재하고 있다.
이춘 시인은 시인의 말에서 “누구나 가슴에 시 한 편 살아 있다는 말을 빌려 이 시집의 출현을 변명한다. 생의 연금(鍊金)이며 영혼의 단련이라는 말도 차용한다.”며 또 후기에서는 “시에 몰두하기 이전 얼마간 수필 공부를 하였습니다. 수필문장의 시적 형용화를 염두에 두고 시작한 시 공부가 어언 삼년, 첫 시집을 꾸몄습니다.(중략) 오늘 나의 시들은 소략한 주변 소재들을 시의 형태로 모양을 갖춘 정도이고, 초생추의 이른 봄나들이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내적으로는 큰 자족감을 느낍니다. 시격이야 어떻든, 주제들은 소중한 나의 생각이요 나의 서정이기 때문입니다. 이 첫걸음에 대한 반향이 두렵고, 자청한 돌길이지만, 고단한 시작(詩作) 끝에 오는 희열의 재미에 빠져 이제 멈출 수가 없습니다.”고 피력했다.
이 시집의 작품해설에서 문효치 시인(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은 “이춘 시인의 시는 크게 두 가지의 특징이 있다. 첫째, 소재는 자연에서 많이 취재했다는 점이다.(중략) 둘째, 정서적인 내용으로는 주로 슬픔의 정서가 시집 속에 많이 흐르고 있다.(중략) 이 시인은 그런 의미에서 그 영혼이 맑고 순수하다 할 것이다. 소재나 정서는 모두 시인의 의식 속에서 떠오르고 활동하는 것이다.”고 평했다.
지연희 시인.수필가는 「먼 곳 ‘꽃잎’에 띄우는 편지」란 제하의 작품해설을 통해 “어느 날 불현듯 죽음이라는 사지로 아내를 떠나보낸 슬픔과 절망의 충격들로 집결된 시집 ‘답신’은 간절하게 애틋한 사부곡(思婦曲)이다.(중략) 편편이 감동 어린 시어로 직조된 이 시집은 훼손되고 건조해진 현대인의 마음 밭 삶의 가치를 재생시키는 따뜻한 기회가 되지 않을까 기대하게 된다. 먼 곳 홀로 떨어져 나간 ‘꽃잎 하나’의 외로움에 전송하는 답신인 까닭이다.”고 설파했다. 박해헌 발행인
............................................................................................................................
나비
정영기(필명 里春) 시인

나무들 사이에 네가 있을 때
마른 풀밭을 거닐며, 나는
가지들이 만드는 격자格子 속을 지나가는
빈 하늘을 바라보고 있었다.
기다림인 줄 모르는
깨지 못한 꿈같은 것이었다.

나무들 사이를 나와, 네가
여린 가지 끝을 맴돌 때
숲으로 난 길에서, 나는
회색 거미줄에 맺힌
맑은 이슬방울을 황홀히 바라보며
낯선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아직도 나의 날들은
착각의 문을 두드리며
숲 너머를 떠돌다 돌아와
멈추지 못하는 날갯짓으로
닫힌 문의 언저리에서 피어오르는
푸른 결을 휘젓고 있었다
...............................................
<정영기(이춘) 시인.수필가 약력>

‘문파문학’시 부문 신인상 당선 등단(2013)
‘창작수필’ 수필 부문 신인상 당선 등단
시집 ‘답신’, 공저 ‘바람엽서’ 외 다수
현) 수수문학(계간誌) 발행인 겸 주간
현) 한국문인협회 및 국제PEN클럽한국 회원
현) 신시문학회 회장 및 문파문인협회 이사
전) 한독약품 임원
전) 구주제약 부회장
전) 신반중 총동문회 회장(2006)
경남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 출생
중앙대 약대 졸업, 약사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입력 : 2020년 11월 12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전국의령군향우연합회 회장 정영만 의령군 수해복구 지원 500만원 기탁..
임시정부 독립자금 60% 조달… 실질적 독립운동 기반..
의령 동부농협, 주부대상 보이스피싱 예방교육실시..
대통령기 제45회 국민독서경진의령군예선대회..
부산영도라이온스클럽·의령라이온스클럽 의령군 수해복구 지원 생필품 기탁..
민생 기동대 현장 출동하면 의령 생활민원 수리수리 뚝딱 해결..
의령 동부농협, 말복맞이 ‘사랑의 삼계탕 나눔’..
정곡중 마영민, 개인 단식 우승 ‘파란’..
한국농어촌공사 의령지사, 폭우 피해 복구 및 재발 방지 총력..
의령군, ‘청렴 다과회’ 운영·‘청렴 로고송’ 제작..
포토뉴스
지역
의령예술촌 ‘2025 여름낭만전’ 열려..
기고
김상권 전) 경남교육청 교육국장..
지역사회
투쟁 차원 넘어선 실천적 민족경제 건설..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재훈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8,080
오늘 방문자 수 : 1,287
총 방문자 수 : 19,799,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