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04 11:39:5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지역종합1

“박재선 선생, 독립유공자 예우해 달라”

<의령 신반 출신>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소장
선생 며느리의 요청으로
자료 수집 청와대에 청원

“1919년 신반리 장터에서
만세시위 주도 태형 60대
당시 만세운동 위해 자금
댔던 자료와 백범 김구
선생과 찍은 사진 잃어버려”

기록 부재로 국가보훈처의
인정은 아직 받지 못해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입력 : 2020년 08월 13일
“박재선 선생, 독립유공자 예우해 달라”
<의령 신반 출신>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소장
선생 며느리의 요청으로
자료 수집 청와대에 청원

“1919년 신반리 장터에서
만세시위 주도 태형 60대
당시 만세운동 위해 자금
댔던 자료와 백범 김구
선생과 찍은 사진 잃어버려”

기록 부재로 국가보훈처의
인정은 아직 받지 못해


ⓒ 의령신문
의령 신반 출신인 3·1독립운동가 박재선(朴載善·1888∼1951·부림면·사진) 선생 등 6명에 대한 서훈을 재야사학자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소장이 올해 광복절 75주년을 맞아 청와대에 청원했다. 정 소장은 국가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독립운동가 박재선 선생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위해 선생의 며느리인 정옥이(87·창원시)씨의 요청으로 후손을 대신해 의령군 신반리 3·1만세운동 주동인사 6명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께 청원서를 올렸다고 3일 밝혔다.
이 같은 청원은 하동군과 경남독립운동연구소가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독립운동가를 발굴한다는 내용이 알려지면서 박재선 선생의 며느리 정씨가 윤상기 하동군수와 정재상 소장을 찾아 도움을 요청하면서 이뤄졌다.
정 소장은 청원서에서 “의령군 출신 박재선 선생은 일제 강점기 침탈에 항거해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몸을 던졌다”며 “3·1운동 101주년이 지나고 광복 75주년을 맞은 이 시점에도 아직 독립운동가의 예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분이 있어 그 사연을 호소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선생과 함께 활동하다 징역 10월을 치른 정주성(鄭周成), 징역 6월 김용구(金容九)·이동호(李東浩), 태형 90대를 받은 최영열(崔永烈)·박우백(朴又伯) 선생도 독립유공자로 인정해줄 것을 청원했다. 정씨는 청원서에서 “합천군 삼가면에서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의 박 씨 집안으로 시집갔으나 당시 시아버지(박재선)는 거동이 불편해 홀로 몸을 움직이기 어려울 정도였는데, 이는 일제에게 당한 태형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삼일운동사(국가보훈처 전자사료관)’와 ‘의령군지’ 등에 의하면, 박재선 선생은 1919년 3월 15일 의령군 신반리 장터에서 정주성, 황상환, 최한규, 장용환, 김용구, 이동호, 최영열, 박우백 등과 만세시위를 주도하다 검거돼 태형 60대를 선고 받았다. 하지만 선생은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함께 운동에 참가했던 이들 중 최한규(건국훈장)·황상환(대통령표창)·장용환(대통령표창) 선생 3명만 독립유공자로 인정됐다.
정씨는 시아버지가 독립유공자로 인정받게 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 다녔다. 의령군과 의령문화원으로부터 받은 ‘3·1운동 참여확인서’, 선생의 이름이 기록된 ‘의령군 신반리 기미 3·1독립운동기념비’ 등 자료를 모아 국가보훈처에 제출했지만 허사였다. 당시 기록이 부재하다는 게 답변이다. 한편 정옥이씨는 “시집온 뒤 시아버님이 ‘네 재산이다’라며 한 보따리를 주셨는데, 그 안에 당시 만세운동을 위해 자금을 댔던 자료와 백범 김구 선생과 찍은 사진이 들어 있었으나 남편을 여의고 이리저리 이사를 다니다가 그만 잃어버렸다”고 말했다.
정재상 소장은 청원과 관련 “박재선 선생 등 6명의 독립지사에 대한 명예회복을 위해 독립운동 자료를 수집해 대통령께 청원했다”며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응어리진 한이 풀렸으면 한다”고 말했다. 하현봉 기자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입력 : 2020년 08월 13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경남도·의령군 ‘버스 공영제’ 맞손..
“벚꽃 만발한, 이 아름다운 학교가… ” 추억 아프게 되새긴 궁류초 총동창회..
의령군민문화회관 창작 오페라 ‘춘향전’ 공연..
표천길의 애국시 ‘무궁화 꽃이… ’ 낭송 강약 감정이입 주력 대전 임연옥 대상..
봉수초 총동문회 19차 정기총회 성료..
50회 의령홍의장군축제⌜향우 만남의 장⌟에서 고향사랑 기부 4천만 원 ‘잭팟’ 터져..
태양광 발전시설 규제 더 한층 강화..
악보 필사본 두 손으로 부여잡고 제창한 기억의 결정체 송산초 교가..
가족의 사랑과 상처, 그리움과 화해 ‘비손’으로 풀어낸 장구 송철수 이야기..
죽전초 총동문회 11차 정기총회 성료..
포토뉴스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종철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8,852
오늘 방문자 수 : 5,653
총 방문자 수 : 18,807,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