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비닐 처리대책 시급하다
새의령신문 기자 / 입력 : 2001년 04월 03일
서울 등 대도시의 나대지나 공사장 주변에 폐타이어를 비롯한 산업폐기물들이 장기간 수거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다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그런 일이 있을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있다고 손치더라도 시민들의 압력에 못 견뎌 결코 장기간 방치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농촌에서는 비닐하우스나 멀칭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가가 늘어나면서 발생한 엄청난 폐비닐이 수거처리공장 시설의 한계 등에 부딪혀 논두렁 등지에 대책 없이 장기간 방치되거나 땅속 매립 및 임의 소각되고 있어 농촌의 미관을 해치고 발암물질인 다이옥신 배출 등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농민들도 쾌적한 자연환경에서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당국의 완벽하고 획기적인 폐비닐 수거처리대책이 아쉽다. 경남도내 농촌에서 년간 발생하는 폐비닐은 의령군의 1천t을 포함 모두 1만3천t으로 추정되고 이 중 최대 60∼70%정도만 수거 처리될 뿐이라고 한다. 하지만 올해부터 폐비닐의 대중국.홍콩 수출 어려움, 유일하게 합천에 있는 폐비닐 중간처리공장의 가동률(75.7%) 저하 등으로 인한 재고량 증가를 감안하면 경남도내 폐비닐 처리실적은 사실상 총발생량의 절반수준에도 못 미칠 것으로 짐작된다. 타도의 실정도 이와 별 다를 바 없을 것으로 믿는다. 의령군에서는 매년 군내 폐비닐 수거를 위해 거액을 들여 공공근로 인력 투입, 폐비닐 회수용 봉투를 제작해 하우스농가에 무료보급하고 있지만 흙을 털어 내야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 주민들의 안일한 환경보호 의식 등으로 실효를 못 거두고 있는 것으로 듣고 있다. 정부는 이제 폐비닐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획기적인 정책을 조속히 내놓아야 한다. 문제 발생의 원인들을 다스리는 것을 그 해법의 원칙으로 삼았으면 한다. 폐비닐 재고량의 급증이 자원재생공사에서 올해부터 폐비닐을 장려금지급 등 유상으로 수거해오던 종래의 방법을 지양, 무상수거제로 바꾸면서 생긴 것이라면 다시 유상수거제를 부활하거나 공병수거와 같이 예치금제 활용 등을 고려해 볼만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근원적인 방법은 자원재생공사의 완벽한 폐비닐 처리공장 시설확충이 아닌가 싶다. 또한 폐비닐을 도로포장재인 아스콘에 혼합 사용하는 방안과 함께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각종 재생업체에 국비지원 및 면세혜택 부여 등 `당근'책을 도입할 필요도 있다고 믿는다. |
새의령신문 기자 /  입력 : 2001년 04월 03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