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8-18 15:33:04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전체

(의령성) 差不多 선생


새의령신문 기자 / 입력 : 2001년 03월 02일
호적(胡適,)은 청말대만 대동지주(臺東知州)를 지낸 부친 호전(胡傳)의 덕분에 미국유학을 했다.호적은 미국 콜롬비아대 철학과에서 실용주의의 대부 존·듀이의 지도아래 철학박사 학위를 획득한 1917년 북경대 채원배 총장의 초빙으로 이 대학에서 1926년까지 문학대학원장을,9·18사변 후 1937년까지 주미중국대사를 지냈다. ▲호적은 진독수 노신 등과 함께 유교적 봉건적인 옛 제도나 의식을 민주주의와 과학정신으로 바꾸는 5·4문화운동을 전개했다. 5·4운동은 백화(白話)신문학운동에서 꽃을 피웠다. 백화운동은 문학과 생활언어에서 어려운 고전적 문어체를 배격하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당시 북경인들의 표준 구어체를 그대로 문학과 생활언어로 사용하자는 것이다. ▲ 이 때 그가 제기한 차부다(差不多)선생 비판론은 유명했다. 중국어 '챠부뚜어(차부다)'는 우리말의 '비슷하다' '큰 차이 없다'와 가깝다. 그가 중국인들의 상투어인 차부다를 의인화해서 차부다선생 퇴치를 주장한 것은 중국인들의 부정확. 비과학적인 의식형태를 반영하는 차부다 정신으로 부국강병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호적의 칼럼 '차부다선생 전'을 보자. 차부다는 노란 설탕을 사오라는 모친의 심부름으로 가계에 갔으나 그게 없어 백설탕을 사왔다. 꾸중하는 모친에게 차부다는 "비슷한 설탕이면 그만이지 웬 황설탕 타령이요"라고 했다.그런 식으로 대충 비슷하면 넘어가며 성인이 된 차부다에게 어느 날 갑자기 복통이 났다. 동동의 왕(汪) 내과의사가 부재 중 이어서 비슷한 성을 가진 서동의 왕(王) 수의사에게 갔다.사람을 수술할 때 쓰는 것과 비슷한 수의사의 칼과 주사기로 수술을 받던 차부다는 결국 사망했다.▲지금 우리에게 이같은 차부다선생의 '차부다' 의식은 없을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언간하면 참지"는 어떠한가. 우리도 '언간하면 참지' 선생 퇴치운동을 벌려보면 어떨까.
새의령신문 기자 / 입력 : 2001년 03월 02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임시정부 독립자금 60% 조달… 실질적 독립운동 기반..
용덕 출신 전재수, 해수부 장관 취임..
민생 기동대 현장 출동하면 의령 생활민원 수리수리 뚝딱 해결..
어린 시절 외갓집 가는 풍경처럼 의령예술촌 ‘2025 여름낭만전’ 열려..
의령 동부농협, 주부대상 보이스피싱 예방교육실시..
南 제2 출렁다리·北 도깨비마을(?) 관광 균형 발전 도모..
정곡중 마영민, 개인 단식 우승 ‘파란’..
대의 집중호우 피해 주민들에게 구성 식당가, 릴레이 점심 나눔 행사..
의령 동부농협, 말복맞이 ‘사랑의 삼계탕 나눔’..
한국농어촌공사 의령지사, 폭우 피해 복구 및 재발 방지 총력..
포토뉴스
지역
의령군 ‘안전점검의 날’ 캠페인 실시 물놀이 성수기를 맞아 수상 안전 캠페인..
기고
김상권 전) 경남교육청 교육국장..
지역사회
투쟁 차원 넘어선 실천적 민족경제 건설..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재훈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10,054
오늘 방문자 수 : 7,023
총 방문자 수 : 19,815,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