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04 16:25:2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향우1

우리소리 맥잇는 풍물 전도사 `이금조 선생``

매주 화요일 궁유마을 주민들에 예술농악 전수 호평
관리자 기자 / 입력 : 2004년 09월 22일
“제가 어릴 적엔 풍물놀이를 사당패놀이라 여겨 사람들이 좋은 눈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저는 12발 상모가 하고 싶어 혼자 새끼를 12발이나 꼬아 머리에 두르고 밤이 새도록 연습을 했습니다.” 이금조 선생의 17세부터 시작한 50여년의 시간을 풍물과 함께 살아온 인생이다.
 민족혼을 상모로 한껏 표현해내겠다는 사명으로 한평생을 신명나게 살아온 상모의 명인 이금조(59세) 선생은 서울국악 예술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강사, 서울 `리틀엔젤스 무용단``안무 및 농악 강사, 서울 워커힐 `하나비 무용단``안무 및 15년간 출연, 1987년 7월4일 미국 독립 200주년 기념행사 및 ``88서울올림픽 홍보특사 자격으로 워싱턴 광장 `상모쓴 호돌이``출연(특사번호: 25981-4255호), 세계 사물 겨루기 대회 심사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현재 실질적인 활동은 김해 이금조 국악예술원과 의령예술촌 가야민속예술단 단장 등으로 후배양성에 힘쓰고 있다.
 농악의 마지막 클라이막스를 장식하는 12발상모 놀음은 양손을 벌려 12발 길이의 상모끈을 앉아서 혹은 누워서 돌리는 놀이를 말한다.
 특히 이선생의 12발상모 놀이는 한 발을 번갈아 뛰면서 발 사이로 돌려 8자를 그리는 양상모 놀이와 일사놀음, 앉아서 빙빙도는 두꺼비 뜀과 팽이돌림이 대표적이다.
 궁유마을 사람들은 매주 화요일 저녁이 되면 이금조 선생을 기다린다. 올초부터 농악을 배우고 싶어하는 궁유마을 주민들에게 농악을 전수하러 방문하기 때문이다. 빠듯한 살림살이와 농사일에 치여 스트레스만 늘어가는 주부들에게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추구하는 ‘웰빙족’의 이미지는 ‘그림의 떡’일 뿐인데 꽹과리, 징, 북, 장구 등을 통해 잠시나마 자신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이 된다. 처음 농악을 시작한 주부는 20여명이지만 농촌이란 바쁜 환경과 개인적인 문제로 현재 남은 인원은 5명뿐이다. 현재인원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꼭 참석해 농악을 배우고 있으며 공연과 봉사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이금조 선생은 “학교로 치면 이제 초등학교 4학년 수준으로 많이 보고 듣고 배워야 하지만 누구든지 초보시절은 있다.”며 “점점 나아지고 있고 우리 것을 지키려 하는 이 마을 사람들이 존경스럽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궁유마을 상쇠 윤초자씨는 “원래 몸이 아픈 사람도 있었는데 이렇게 농악을 배우면서 아픈곳이 없어진 사람도 있고 이렇게 시골에서 문화 생활하기가 쉽지 않은데 바쁜 가운데서도 문화생활을 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이금조 선생의 예술단원들은 의령 예술촌에서 매월 셋째 주 토요일 저녁에 야외 공연을 펼치고 있으며 의령소싸움대회가 열리는 9월 29일 부산 BEXCO에서 1시간 30분가량의 공연과 11월 찾아가는 예술행사로 신반장터와 의령장터에서 흥겨운 놀이가 있을 예정이다.
<최진정 기자>
관리자 기자 / 입력 : 2004년 09월 22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경남도·의령군 ‘버스 공영제’ 맞손..
“벚꽃 만발한, 이 아름다운 학교가… ” 추억 아프게 되새긴 궁류초 총동창회..
의령군민문화회관 창작 오페라 ‘춘향전’ 공연..
표천길의 애국시 ‘무궁화 꽃이… ’ 낭송 강약 감정이입 주력 대전 임연옥 대상..
50회 의령홍의장군축제⌜향우 만남의 장⌟에서 고향사랑 기부 4천만 원 ‘잭팟’ 터져..
봉수초 총동문회 19차 정기총회 성료..
가족의 사랑과 상처, 그리움과 화해 ‘비손’으로 풀어낸 장구 송철수 이야기..
태양광 발전시설 규제 더 한층 강화..
악보 필사본 두 손으로 부여잡고 제창한 기억의 결정체 송산초 교가..
죽전초 총동문회 11차 정기총회 성료..
포토뉴스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종철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8,852
오늘 방문자 수 : 8,003
총 방문자 수 : 18,809,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