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8-18 15:33:1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전체

동해(East Sea) 독도(Dokdo) 지도 전시를


김민수 기자 / 입력 : 2010년 05월 08일

동해(East Sea) 독도(Dokdo) 지도 전시를 
 
 
김민수 칼럼니스트
 



일본 정부가 동해(East Sea)에 불법적인 국경선을 임의로 획정하고 대한민국령(大韓民國領) 동해(East Sea) 독도(獨島)를 일본 영토로 표기하여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초등교과서를 검정 승인했다. 일본 정부의 역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령(大韓民國領) 동해(East Sea) 독도(獨島)를 일본 영토로 표기한 초등교과서의 검정 승인은 대한민국령(大韓民國領) 동해(East Sea) 독도(獨島) 침략 도발이다.
 


1909년 11월 대한국 최초로 개관한 창경궁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을 계승하는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국령(朝鮮國領) 대한제국령(大韓帝國領) 동해(East Sea), 독도(Dokdo),간도(間島) 문헌,지도를 적극적으로 전시 홍보하고 역사적,국제법적 간도(間島)와 독도(獨島)의 영유권을 확립하여 대한국(大韓國) 113년 역사를 바로세우고 일본 정부의 대한민국령 동해(East Sea) 독도(獨島) 침략에 대응해야 한다.



1869년 조선(朝鮮)에 파견되던 일본 외무성 관리가 일본 정부에 제출한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朝鮮國交際始末內探書)에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영토가 된 시말(始末)에 대해 조사하고 울릉도와 독도(獨島)는 조선령이라고 결론지은 내용이 있다. 1877년 일본 최고 권력기관 태정관(太政官)은 태정관 지령문(太政官指令文)을 통해 울릉도와 독도(獨島)를 조선국(朝鮮國) 영토로 인정했다.



고조(高祖)는 1897년 10월 12일 백악(白嶽:북악산)과 목멱(木覓:남산) 사이의 경운궁(慶運宮) 대안문 앞 환구단(圜丘壇)에서 천제(天祭)를 올리고 1대 광무제에 등극하며 천하에 큰 한(韓)이라는 이름이 적합하므로 국호(國號)를 대한(大韓)이라 하고 1897년을 광무(光武) 원년(元年)으로 삼는다고 천명하여 대한시대(大韓時代)가 시작되어 대한제국(大韓帝國)의 국체 및 영토가 대한민국(大韓民國)으로 계승됐다.



한반도 간도(間島) 제주도 대마도 동해(East Sea) 독도(Dokdo)를 비롯한 인접 도서,해양을 통치하고 태극기(太極旗),애국가를 상징으로 한 대한제국(大韓帝國)의 고조 광무제는 제주에서 간도까지 남북으로 4천리를 통일(統一)했으며 1900년 10월 25일, 대한제국 정부는 칙령(勅令) 41호를 공포하여 울릉도를 강원도의 군으로 승격하고, 울릉군의 관할 구역으로 독도(獨島)를 포함시키고 이를 대한국 관보를 통해 공포했다.



1946년 연합국최고사령부는 울릉도,독도,제주도를 일본에서 분리되는 땅으로 명시한 지령(SCAPIN) 677호를 일본 정부에 전달했다.대한제국(大韓帝國)의 국체 및 영토를 계승한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는 1952년 한국 행정구역상 경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인 독도(獨島)를 포함하는 인접 해양의 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평화선)'을 선포하고  1954년 독도 남동쪽 암벽에 '韓國領'과 태극기를 새겨 넣었다.


 

김민수 기자 / 입력 : 2010년 05월 08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임시정부 독립자금 60% 조달… 실질적 독립운동 기반..
용덕 출신 전재수, 해수부 장관 취임..
민생 기동대 현장 출동하면 의령 생활민원 수리수리 뚝딱 해결..
어린 시절 외갓집 가는 풍경처럼 의령예술촌 ‘2025 여름낭만전’ 열려..
의령 동부농협, 주부대상 보이스피싱 예방교육실시..
南 제2 출렁다리·北 도깨비마을(?) 관광 균형 발전 도모..
정곡중 마영민, 개인 단식 우승 ‘파란’..
대의 집중호우 피해 주민들에게 구성 식당가, 릴레이 점심 나눔 행사..
의령 동부농협, 말복맞이 ‘사랑의 삼계탕 나눔’..
한국농어촌공사 의령지사, 폭우 피해 복구 및 재발 방지 총력..
포토뉴스
지역
의령군 ‘안전점검의 날’ 캠페인 실시 물놀이 성수기를 맞아 수상 안전 캠페인..
기고
김상권 전) 경남교육청 교육국장..
지역사회
투쟁 차원 넘어선 실천적 민족경제 건설..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재훈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10,054
오늘 방문자 수 : 7,046
총 방문자 수 : 19,815,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