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08 09:07:0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해설

김영덕 국회의원 초청 간담회

한미 FTA로 인한 쇠고기 부분 협상 결과와 대응방안 모색
편집부 기자 / 입력 : 2007년 07월 13일

양돈농가 보호위한 원산지 표시 강화


 



지난 11일 군 농협 2층 회의실에서 김영덕 국회의원 초청 간담회가 관련 분야 농민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한우협회와 낙농협회 양돈지부 양봉분회가 공동 주최한 간담회에서는 한미 FTA협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 농민들의 불만과 향후 대책에 관한 토론으로 열기가 뜨거웠다.


한우협회 옥효전 회장은 사전 대책 없는 협상은 전면 무효화 되어야 하며, 국회비준을 결사반대 한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밝히고 문제점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관세가 완전 철폐되는 15년후의 한우가격 피해액은 5,017억원으로 예상되며 한우와 연관된 산업의 피해액까지 가정하면 약 1조2천억원이 될 것으로 추정했으며, 한우협회에서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응방안으로 송아지 생산안정제 기준 가격 상향조정 및 지급금 확대, 전두수 생산이력제실시, 비육우 가격안정제도입, 부루셀라 살처분 보상비 현실화. 사료 가격 안정화 방안 및 조사료 생산기반 조성, 음식점 원산지 표시 전면확대와 품종 별 표시로 전환, 품질 고급화 장려금 및 거세장려금 지원, 부정둔갑유통 단속권한 확대, 도축세폐지, 피해산업에 대한 목적세 신설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영덕 국회의원은 안정제 기준가격을 40만~50만원 정도로 늘려야 할 것으로 생각하며 부루셀라 보상금은 삭감대신 완전보상이 될 때 질병억제 효과가 더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사료값, 조사료 기반조성은 정책적으로 여러 곳에서 총채보리 생산지도를 하고 있으며 조사료는 중요한 사항으로 유휴농지를 활용한 재배면적 확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또한 기존 300㎡에서만 적용되던 원산지 표시를 전 요식업장으로 확대하려 했었지만 요식업체의 반대로 우선 100㎡ 이상의 사업장으로 확대된 입법안이 심의를 통과한 상태임을 전하면서 보건복지부외에 농림부에서도 수사권을 가질 수 있는 근거 법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도축세 폐지안은 지방자치단체의 세입이 줄어들어 지자체에서 반대를 하는 실정이나 연말쯤 법률안이 통과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양돈협회 문영길 회장은 "쌀 다음으로 피해가 큰 것이 양돈이다. 정부에서 말하는 시설 개보수 자금은 농신보 한도가 대부분 초과되어 있기 때문에 자금을 준다고 해도 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기존 여신한도를 늘려 주어야 대책방안을 마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상황의 심각정을 꼬집기도 했다. 이에 김 의원은 "분뇨시설자금이 융자로 지원이 된다면 농가는 더 큰 어려움과 빚더미에 앉게 될 것이다. 정부차원에서 농촌부채탕감에 대한 특별법을 만들고 있으니 기다려 보라"고 했다.


이날 참석한 농민들은 '땅의 정직함을 믿고 살아온 농부들에게 비수를 들이대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면서 '국가 발전을 위한다는 명분아래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나 안전한 미래를 농민들에게 보여 주어야 하며 무조건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농민을 두 번 죽이는 일'이라며 입을 모았다. <배민숙 기자>

편집부 기자 / 입력 : 2007년 07월 13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의령군 부림면 옥동마을, 특산물 양상추 축제 개최..
가족의 사랑과 상처, 그리움과 화해 ‘비손’으로 풀어낸 장구 송철수 이야기..
태양광 발전시설 규제 더 한층 강화..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의령농협, 조합원 300명 농협케미컬·남해화학 선진지 견학 시행..
한국생활개선의령군연합회, 의령군장학회 장학금 100만원 기탁..
의령청소년문화의집,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공모 선정..
(사)전국한우협회 의령군지부, 의령군장학회 장학금 300만원 기탁..
의령군, 농번기 범군민 농촌일손돕기 본격 추진..
의령군 토요애 쇼핑몰, 수박축제 성료 감사 이벤트 6kg 한정 30% 할인..
포토뉴스
지역
축제 주제 (과거와 현재의 만남 “나도 의병”)과도 맥 같이 해..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종철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13,941
오늘 방문자 수 : 3,146
총 방문자 수 : 18,861,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