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04 11:28:5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향우기고

名富, 경주 최 부잣집의 修身齊家法


편집부 기자 / 입력 : 2007년 01월 11일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지만 ‘경주 최 부잣집’이 논을 사면 박수를 쳤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경주 최 부잣집은 오늘날 ‘정재(淨財)’의 상징물로 회자(膾炙)되고 있다. 실로 이 집안은 9대를 내려오는 동안 진사 벼슬을 하고, 12대 동안 만석꾼을 지낸 집으로 팔도에서 그 이름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이 드물 정도로 유명하다.


“부자가 3대를 넘기기 힘들다(富不三代)”란 말이 있지만 이와는 달리 최 부잣집이 오랜 세월 부와 명예를 유지할 수 있었던 데는 그 집안 나름의 수신(修身)과 제가(齊家)의 철학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집에는 대대로 가훈처럼 지켜온 몇 가지 불문율이 있다. 첫째,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은 하지 말라. 둘째, 재산은 만석 이상 모으지 말라. 셋째, 과객(過客)을 후하게 대접하라. 넷째, 흉년에는 남의 논밭을 사들이지 말라. 다섯째, 며느리들은 시집온 후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 여섯째, 사방 100리 안에 굶어주는 사람이 없게 하라.


이 같은 여섯 가지 제가의 철학과 함께 육연(六然)이라고 하는 수신의 철학이 있었다. △자처초연(自處超然; 스스로 초연하게 지낸다) △대인애연(對人靄然; 남에게는 온화하게 대한다) △무사징연(無事澄然; 일이 없을 때는 맑게 지낸다) △유사감연(有事敢然; 유사시에는 용감하게 대처한다) △득의담연(得意淡然; 뜻을 얻었을 때는 담담하게 행동한다) △실의태연(失意泰然; 실의에 빠졌을 때는 태연하게 행동한다)이 그것이다.


최 부잣집은 경주 교동 69번지에 있다. 신라 천년의 수도였던 경주에서도 교동 69번지는 특별한 장소다. 설화에 의하면 원래 이 터에는 신라 문무왕의 딸이자 무열왕의 둘째 누이인 요석공주(瑤石公主)가 살던 요석궁이 있었다고 한다.


최 부잣집이 이곳에 자리 잡은 때는 대략 200년 전. 그러니까 현재 장손인 최염씨의 7대조가 되는 최언경(1743-1804)대의 일이다. 그 전에는 경주시 내남면의 '게무덤'이라 불리는 곳에 살았다고 한다.


여기서 최 부잣집의 파시조이자 13대조인 최진립(1568-1636)이 살았고, 아들 손자대로 내려가면서 점차 재산이 쌓였다. 재산이 늘어남에 따라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지자 새로운 터를 물색했는데, 그 때 택지한 곳이 오늘의 이 집터이다.


최 부잣집의 마지막 부자는 현재의 장손인 최염(74·최치원의 28세) 씨의 조부인 문파(汶坡) 최준(崔浚, 1884-1970). 일제식민지시대를 살았던 그는 백산(白山) 안희제(安熙濟, 1885-1943)와 백산상회를 설립해 임시정부에 독립자금을 제공하다가 부도로 가산탕진의 위기를 맞기도 했다. 그러나 문파는 해방 후 모든 재산을 영남대학의 전신인 대구대학을 설립하는데 희사했다. 수백정보의 논밭과 8000여 권의 장서를 내놓았고 계림학숙(鷄林學塾)을 설립하는 데 남은 재산을 희사했다.


최 부잣집은 원래 아흔 아홉 칸이나 됐고, 부지 2천여평에 1만여평의 후원도 있었지만 안타깝게도 1970년의 화재로 큰 사랑채와 작은 사랑채가 소실되는 바람에 30여 칸만 남아 있다. 때마침 경주시가 지난해 11월28일 5억3천만원을 들여 화재로 소실된 최 부잣집 사랑채 한 채를 복원한데 이어 올해에도 추가로 나머지 사랑채를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것은 이 집안의 정재(淨財)와 명부(名富)사상을 길이 계승·발전시키려는 깊은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아무튼 올해에는 모든 사람들이 황금돼지의 복을 받아 부자가 되데 졸부가 아닌 최 부잣집과 같은 명부(名富)의 진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길 기원해본다.



 최학열


(경주최씨 대구화수회 회장 / 재대구 의령군향우회 고문, 봉수면)

편집부 기자 / 입력 : 2007년 01월 11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경남도·의령군 ‘버스 공영제’ 맞손..
“벚꽃 만발한, 이 아름다운 학교가… ” 추억 아프게 되새긴 궁류초 총동창회..
의령군민문화회관 창작 오페라 ‘춘향전’ 공연..
표천길의 애국시 ‘무궁화 꽃이… ’ 낭송 강약 감정이입 주력 대전 임연옥 대상..
봉수초 총동문회 19차 정기총회 성료..
50회 의령홍의장군축제⌜향우 만남의 장⌟에서 고향사랑 기부 4천만 원 ‘잭팟’ 터져..
악보 필사본 두 손으로 부여잡고 제창한 기억의 결정체 송산초 교가..
태양광 발전시설 규제 더 한층 강화..
가족의 사랑과 상처, 그리움과 화해 ‘비손’으로 풀어낸 장구 송철수 이야기..
죽전초 총동문회 11차 정기총회 성료..
포토뉴스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종철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8,852
오늘 방문자 수 : 5,266
총 방문자 수 : 18,806,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