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정영만
스톨러연구소한국주재연구원
탄저병 4
대부분의 병은 땅 밑에서 출발해 뿌리에서 시작된다. 과다시비 그리고 저질의 비료와 축분성 퇴비의 남용으로 토양의 문제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1) 사과의 탄저병
고추는 물론 사과, 포도, 배, 복숭아 열매에서도 발병률이 매우 높은 과일 탄저는 대부분 기온이 높고 다습한 시기에 많다는 것이 공통점이며 풋과나 어릴 때보다는 수확기를 앞둔 성숙과일 때 많이 발생해 재배가들을 곤혹스럽게 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과일의 표면에 검은 점이 나타나고 갈색 반점의 둥근 무늬가 만들어져 커지면서 둥근 동심원 모양의 병반이 확대된다.
1) 예방과 대책
대책1) 복합 비료(NK비료) 또는 축분퇴비를 다량 공급하는 현재의 수확 후 감사비료는 괜찮은가? 그렇지 않다고 본다.
칼슘 포함된 메이트系를 밑거름으로 하거나 칼슘 + 붕소제를 수확 후의 빈가지와 나무에 살포하도록 권장하고 싶다.
생각해보라, 모빌성(Mobil) 성분으로 속도가 굉장히 빨리 흡수하면 식물의 덩치가 커지고 빨리 자라게 돼 웃자람(도장) 가능성이 큰 질소, 칼리 성분을 그것도 대량 수확 후에 사용돼 어느 정도라도 흡수가 된다면 이른 봄부터 가지가 길고 웃자람 가능성이 커 병에 약할 가능성이 크다.
1) 빈가지와 나무에다 하베스트칼슘 500배를 살포하거나
2) 메이트를 600평당 25kg을 뿌려 놓는다.
<그림> 수확 후의 과수원
대부분의 식물은 잎의 기능이 없을 때에는 가지에서도 영양분을 어느 정도 흡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질소, 칼리, 황 같이 힘이 센 비료들은 비교적 빨리 흡수되고 빨리 자라게 하므로 식물의 잎과 과일이 없을 때는 공급량을 줄이고 단단하게 키우는 칼슘, 붕소, 고토에다 철, 망간, 아연 등을 함께 공급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