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3 18:07:2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기획시리즈

정영만의 농업 신기술-토양병해충2


편집부 기자 / 입력 : 2006년 06월 14일
 






효과적인 작물재배를 위한  종합시비기술


 



 


 


 


정영만

스톨러연구소한국주재연구원


 



토양병해충2



역병의 종류에 따라 잎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들과 지제부와 뿌리 쪽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들로 나눌 수 있다.


감자와 토마토 가지, 고추 등 가자과 채소 역시 역병피해가 심각한데 작물별로 병원균의 종류는 다소간 차이가 있는 것도 있지만 발생환경과 발생부위와 병징에는 공통점이 많기 때문에 이해가 쉽게 보편적으로 살펴보자.


역병의 종류에 따라 잎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들과 지제부와 뿌리쪽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들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병의 증상은 대부분 잎에 수침상으로 둥근 반점이 크게 형성되며 암록흑색이나 암갈색으로 되며 잎이 떨어지는 낙엽현상을 가속화시키게 된다.


또 심지어 새눈과 어린잎이 감염되어 뜨거운 물에 데인 것처럼 되기도 하며 고추 역병처럼 주로 지제부의 줄기가 감염되어 마르게 되는 경우도 많다. 어쨌든 거의 모든 과일・채소 작물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많이 발생하는 것이 역병이다. 재배가들에게 가장 어려운 대상이 될 것이므로 주의해야 된다.


딸기의 경우에도 역병을 피해가기가 쉽지 않은데, 이 역시 병원균이 고온을 좋아하기 때문에 묘상관리와 가식을 여름철 고온기에 해야 하는 이유로 특히 관수를 자주하므로 어린 묘에서부터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재배가들이 본포에서 발견할 수는 있으나 대부분에 묘상이나 가식에서 이미 감염된 것이므로 미리부터 주의해야 한다.


두드러진 현상은 주로 크라운과 뿌리가 검게 갈변한 뒤에 뿌리전체로 번지며, 잎에도 암갈색의 부정형 병반이 나타나서 포기전체로 시들어버리거나 고사하는데 발생 이후 피해가 심각할 수 있으므로 발생전에 관리를 잘해야만 한다.


뿌리썩음 현상은 오히려 온도가 낮은 가을에서 이른 봄까지 본포에서 발생하는데 생장이 더디고 잎 가장자리가 적자색으로 변하며 포기 전체가 시들어 고사해버린다.


물론 이때 뿌리는 완전히 갈변하여 썩게 된다. 또 어떤 경우에는 이른 봄 저온기에 습도가 높고 흐린 날이 많아 식물이 연약해질 때 시들 수 있는데 흐리다가 맑고 또 흐리다가 맑아지는 등 환경변화가 심할 때 발생한다.


이것은 본포에서 감염되는 경우로 뿌리가 위축되거나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뿌리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거나 호흡을 할 수 없어 결국 포기 전체가 고사하게 된다.





■ 방제방법


토양과 뿌리로부터 문제가 되는 역병과 뿌리썩음병의 경우 먼저 토양소독을 생각할 수 있는데 취화메틸이 알려져 있으며 정식 전 밭갈이 전후로 메타락실입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유기 및 무기동제, 폴리카바메이트, 캡탄 등이 있으나 많은 양을 사용하거나 잦은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또 최근에는 각종 미생물제제 등을 토양 시용하는데 실질적인 효과는 아직도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고 발생억제시스템인 예방학 이론과 무독성파괴제인 정균습윤제를 확대 사용하는 것이 좋으리라 여겨진다.






■ 뿌리병을 예방하기 위해 준수해야 할 수칙


1. 뿌리를 땅속 깊은 방향으로 유도하고 새뿌리 발근량을 많게 한다. 정식 직후 지나친 관수를 피하고 EB.a나 복합호르몬제를 이용한다.


뿌리는 7~14일 간격으로 근관탈피가 필요하므로 끊임없이 새뿌리 발근이 되도록 과습, 건조, 저지온을 피한다.


2. 다비재배는 금물이다. 밑거름의 다량시비는 염기축적을 많게 하고 과다한 염기는 새뿌리(골무)의 형성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밑거름은 최소량을 공급하여 착과 전후부터 뿌리와 잎을 통한 추비에 중점을 둔다.


3. 질소와 칼리로도 뿌리발생은 되나 세포가 연약해 병 발생 억제능력이 떨어져 쉽게 감염될 수 있으므로 다량의 칼슘과 적정량의 붕소, 철 등을 가미 뿌리를 발근케 하여 병발생을 자체를 줄일 수 있어야 한다.


4. 발생 후 농약사용 시는 유주자 파괴능력이 뛰어난 정균습윤제(뉴오스막)를 반드시 함께 사용해 단번에 약해 없이 방제해야 한다. 또 이때 엽면시비만으로 만족하지 말고 약의 분량을 충분하게 하여 뿌리까지 스며들 수 있으면 효과가 오래갈 수 있다.


5. 과습과 저(低)지온을 피한다. 즉, 물공급은 식물이 필요한 만큼 한다. 너무 잦은 관수로 인해 일어나는 저지온과 과습을 피해야 한다.


6. 배수를 철저히 하고 이랑을 높게 한다.


(고추역병)


편집부 기자 / 입력 : 2006년 06월 14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황성철 의령군의원 자유발언 ‘부자 테마공원’ 조성..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자 지명..
6회 재부 의령군향우회장배 골프대회..
재경 유곡 향우 박인묵 시인 첫 시집,『오후 3시에 읽는 시』발간..
윤병열 군의원, 노인보호·농업인 안전 조례 제정..
제한업종계획구역 신설로 부림산단, 대부분 업종 입주 허용..
의령군 하반기 정기 전보 인사(2025.7.7.)..
자굴산 산림휴양시설 숙박·부대·기타시설 이용 꾸준한 증가세 성패 시금석..
의령군의회, 제293회 정례회 폐회..
조순종 군의원, “생활인구 확대” 대안 제시..
포토뉴스
지역
바르게살기운동 의령군협의회 ‘어르신 생신상 차려드리기’ 행사..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6.16 부산CC, 112명 참가 대상(77인치 TV) 심민섭 씨 대회발전기금 200만원 찬조 우승 신국재, 메달 임미정 준우승 이..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재훈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9,712
오늘 방문자 수 : 12,093
총 방문자 수 : 19,362,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