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작물재배를 위한 종합시비기술
.jpg)
정 영 만 스톨러연구소 한국주재연구원
■ 바이러스 해결방안
바이러스 해결방안을 논의할 때 먼저 식물의 병 발생 요인과 식물 건강유지를 위해 기본적인 지식을 다시한번 점검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바이러스 해결방안을 논의할 때 먼저 식물의 병 발생 요인과 식물 건강 유지를 위해 기본적인 지식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중에서도 타감작용(알레로파시 현상)은 빼놓을 수 없이 중요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작물은 서로서로 차지하게 될 공간 때문에 싸우며 서로에게 피해를 끼치게 된다. 작물을 밀식하게 되면 작물과 작물 사이에 더 많은 분쟁이 일어나게 되고 더 많은 문제가 생겨날뿐더러 이로 인해 수명을 단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많은 농가가 주어진 공간속에서 좀 더 많은 수확을 올리기 위해 저지르는 실수 가운데 하나는 더 많은 비료를 땅바닥에 주는 것이고 그것도 파종이나 정식 전 농사가 시작되기 전에 한꺼번에 일시적으로 밑거름을 주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식물은 처음부터 웃자라게 되고 수명을 단축하는 것이며 말할 것도 없이 좋은 과일을 착과시키기도 힘들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이 좋은 재배면적 때문에 밀식을 하게 되는 것인데, 밀식을 하게 되면 설사 단위면적당 수량은 높아질 수 있으나 한 포기 한 포기 개별 작물의 수량은 낮아질 것이며 특히 식물의 수확이 완료될 때까지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수확물의 품질이 나빠질 것이며 병충해 등 각종장해에 노출되고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반농가는 이것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jpg)
사과바이러스
■ 밀식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 식물을 관찰하면
● 뿌리가 왕성하고 단단해 뿌리 세포가 튼튼하다. ● 줄기 또한 단단하고 튼튼하다. ● 가지 뻗음이 좋고 분열도 왕성하다. ● 측지 즉 곁순도 더 많다. ● 키가 크기 않고 단단하다. ● 마디와 마디가 짧다. ● 착과가 왕성하고 이삭, 꼬투리, 곡식 또는 씨앗이 더 많고 충실하다. ● 수확기의 줄기와 대가 쉽게 약해지지 않는다. ● 각종 병해 피해가 적다. ● 해충 피해 또한 많지 않다.사과바이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