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작물재배를 위한 종합시비기술
■ 흰가루병(白粉病) 어떻게 다룰 것인가-②
.jpg)
정 영 만
스톨러연구소
한국주재연구원
흰가루의 경우 일단 발생이 되고 나면 확산 속도가 빠르고 피해를 크게 입게 되므로 병 발생 자체를 억제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병제시의 주의사항
1. 초기에 진압해야 한다.
① 환기가 불량한 하우스 재배의 경우 발생이 된 뒤 급속하게 확산되고 치명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는 만큼 발생이 된 것이 확인되면 즉각 약제 살포에 돌입해야 한다.
② 기본약제는 종류를 바꾸어 가며 사용하되 뉴오스막을 병용한다.
③ 토양처리
④ 단, 하우스 구조물에 직접 처리시는 주의가 요망된다.
2. 검증된 약제를 먼저 사용한다.
발생이 확인된 뒤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특이약제나 민간요법을 동원하다 시간을 끌게 되면 더욱 어렵게 된다.
① 초기약제 : 흰가루 레이스 등
② 일반약제 : 훼나리, 트리후만 등
3. 심각한 경우에는 뉴오스막을 적극 활용하고 남은 약액을 뿌리에도 관주한다.
역병. 탄저병 등에 효과가 검증된 뉴오스막을 500배 정도로 강하게 사용하면 여러 가지 병해에 동시에 효과를 어느 정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 경우 엽록소가 파괴되거나 식물이 장해를 입을 수도 있으므로 사용할 수 가 없다.
다만, 사용용도를 묽게 해 일반농약과 혼용해 사용하게 되면 단번에 효과를 거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하우스 내 - 유묘기나 식물체가 약할 때 : 뉴오스막 4,000배 + 일반농약 정량 - 식물체가 건강하거나 병의 증상이 심한 경우 : 뉴오스막 3,000배 + 일반농약 정량
뉴오스막은 잔류독성이 전혀 없는 친환경 제제이나 침투 및 정균속도가 매우 빠르고 탁월해 토양에도 큰 이점이 있으므로 약액을 제조해 주변 토양에까지 충분히 살포 할 때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더욱 뛰어날 것이다.
.jpg)
딸기 흰가루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