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지 복잡하지 않지 진짜 맛은… ”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 입력 : 2020년 03월 13일
“깊지 복잡하지 않지 진짜 맛은… ”
의령 출신 김영화 시인 공동시집 ‘양파집’ 펴내
 운동화 빨래방 앞/ 검붉은 연잎 가득 핀 얼굴/ 따가운 가을볕에/ 늦물 자두가 시들고/ 펼친 노점에 덜 자란 사과가 맥없이/ 소쿠리에서 지쳐가는 사이/ 여자는 연신 땀을 훔치고/ 땅바닥을 모로 보는데/ 나는 녹두 반 되를 손에 쥐고 가다/ 덥석 못난이 사과 한 봉지 받아든다 <김영화 시 ‘시장, 살이’ 전문> 지난 9일 기자에게 우편물이 하나 왔다. 시집이었다. 아무런 설명도 없었다. 아마도 의령과 관련 있고 주위에 알려달라는 뜻이리라고 지레짐작했다. 빗나가지 않았다. 의령 출신 김영화 시인을 비롯하여 6명의 공동시집 ‘양파집’<펴낸 곳 도서출판 ‘시와 시학’>이었다. 이 공동시집에는 ‘정암교의 봄’, ‘아버지와 노계’ 등 김영화의 시 20편이 실렸다. 시 ‘시장, 살이’에 대해 박태일(시인·경남대 명예교수)은 작품 해설에서 “과일 노점은 둘레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주인 ‘여자’는 세상을 똑바로 쳐다볼 수 없는 사시였던가 보다. 그런 눈길로 ‘연신’ 시장 ‘바닥을 모로’ 보며 살아왔다. 그녀는 어릴 적부터 그러한 사시의 운명을 지고이고 왔을 것이다. ‘녹두 반 되’를 사서 집으로 돌아가던 시인이 굳이 그녀의 ‘못난이 사과 한 봉지’를 더 사는 불편을 쥐는 마음은 무엇일까. 그녀가 겪어 온 아픔에는 아무런 위로도 되지 못할 게 뻔한 연민. 다른 목숨을 향한 예의와 배려”라고 했다. 둘레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것, 아무런 위로도 되지 못할 뻔한 연민, 그럼에도 다른 목숨을 향한 예의와 배려. 이것이 김영화 시인을 잘 드러내는 모습이리라. 이러한 자세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그의 다른 시 ‘아버지와 노계’를 보자. 닭은 질겨야 돼/ 의령 장바닥을 뒤져 사오셨네/ 질기다는 것은 늙었다는 것/ 비도 바람도 맞아야 질겨지지/ 그래야 감칠맛이 나지// 나무 도마에 무쇠 칼로 잘게 다져/ 마늘 조선간장 땡초에 고춧가루만 풀어도/ 깊지 복잡하지 않지 진짜 맛은/ 늙는다는 것은 노회하지 않는 것/ 단순해도 깊은 것은 감출 수 없지// 수를 누리지 못한 닭은/ 늙은 닭은/ 이제 없다네/ 나도 아버지도 <김영화 시 ‘아버지와 노계’ 전문> 깊지 복잡하지 않지 진짜 맛은, 늙는다는 것은 노회하지 않는 것, 단순해도 깊은 것은 감출 수 없지. 그렇지. 아무런 위로도 되지 못할 뻔한 연민이라는 ‘현실’을 알면서도 깊지 복잡하지 않게 다른 목숨으로 향하는 예의와 배려의 시선이 ‘단순해도 감출 수 없는 깊은 감칠맛’이리라. 유종철 기자 |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  입력 : 2020년 03월 13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