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 지역언론 살리기’를 목표로 출범한 지역신문발전위원회(위원장 김태진)가 22일 서울 프레스센터 14층에 사무실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로써 지난해 9월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 시행령이 발효된 지 7개월 만에 지발위는 조직 및 예산, 사무실 등 기본적인 모양새를 갖추게 됐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태진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장(사진 좌)을 비롯해 이미경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위원장(사진 우)과 김창호 국정홍보처장, 조기숙 청와대 홍보수석, 정남기 한국언론재단이사장, 이상준 한국지역신문협회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김태진 위원장은 “지역 일간지와 주간지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지역신문 지원사업에는 올해 251억원의 예산이 배정됐으며, 5월초 신청 공고를 낸 뒤 심의를 거쳐 6월부터 본격적인 지원사업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김 위원장은 “지발위는 구체적 지원기준 마련과 함께 효율적으로 지역 언론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사업 등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에 따라 9명으로 구성된 지역신문발전위원회는 △지역신문의 발전지원계획 자문 △발전지원 주요시책 평가 △지원대상의 선정과 지원기준 심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한편 지난 18일 국무회의에서는 기금 사업내역과 지원규모를 담은 ‘2005년도 지역신문발전기금 운용계획’이 최종 확정됐다.
운용계획에 따르면 올해 집행될 2백51억원의 국고 출연 기금은 △경쟁력 강화지원 사업 62억원 △조사연구 연수교육 10억원 △정보화 지원 43억원 △공익성 구현 31억원 등으로 계획돼 있다.
세부적으로는 올해 기금 조성액 251억원 중 62억원을 지역신문사의 경영능력 제고를 위해 지원할 예정인데 공동기획취재 사업에 33억원, 신문사업 전략과 조직관리 등 경영컨설팅 분야에 9억원, 인턴기자 지원과 프리랜서 및 전문가 자문지원에 각각 10억원을 투입한다.
또 지역신문 인프라 확충을 위해 60억원의 정책자금을 대출해 준다.
낡고 노후된 윤전시설 교체 및 신규설치를 위해 30억원을 저리로 융자해주고 인쇄 및 편집장비 도입 대출자금으로 30억원을 책정했다. 이와 함께 43억원을 투입해 정보화 사업도 적극 추진한다.
정보통신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 통합뉴스 제작기반을 마련키 위해 20억원이 지원되며 지역 신문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뉴스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10억원, 첨단 디지털 취재장비 임대 자금으로 13억원이 지원된다.
또 인프라 구축을 위해 윤전시설 도입과 인쇄 및 편집장비 도입에 모두 60억원을 융자금(연리 3%, 2년 거치 3년 상환)으로 책정했다.
지역신문발전기금은 지난해 10월 제정된 ‘지역신문발전지원 특별법’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오는 2010년까지 국고 지원금, 민간기부금 등을 한시적으로 운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