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04 10:54:5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기고

외가집 가는 길

정상대(수필가)
편집부 기자 / 입력 : 2011년 12월 17일











▲ 정상대
이 세상에 어머니 없는 자식은 없다. 태어난 후 일찍 운명하였거나, 아니면 기억에 남아 있지 아니하여서 일 것이다. 심지어 의학발달로 정자를 빼어내, 난자와 결합한 시험관 아이도 어머니와 아버지가 있는 것이다.


시험관 얘기니, 몇 년 전 미국 콜로라도 주에, 유명(?)한 정자 의사가 있었다. 그는 결국 96명의 아기를 원하는 여자들을 의사자신의 정자를 사용해 아들, 딸을 낳게 한 것이다. 입으로 소문이 나자 아이엄마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만나보니 모두가 기증받은 정자가 아니었고, 얼굴이 모두 비슷한, 의사정자였다. 그는 자기 본처 아이를 합하면, 100명이 넘는 아버지로, 기네스북에 올랐을 것이다.


우리 어머니 친정으로, 우리 뒷산 초계 재 넘어 조금 내려가면 만나는 정골이라는 마을이다. 어머니 외가는 문화 유(柳)씨로 양반 집안이라 불리었다. 김씨 집안으로 시집온 외할머니 얘기다. 한마디로 김씨들은 술 잘 먹으니, 좀 게을러 예의범절이 유씨 보다 못하고, 아들 3명 낳고 키워보니, 그 말이 맞는 듯하다고 말씀하시곤 했다.


버들 유씨들도 술을 먹지만, 적당히 먹고, 아침, 저녁으로 명심보감이나 좋은 책을 많이 읽는다 하셨다. 수년 전 미국 아들 부시 대통령이, 어느 날 전국 생중계 TV 앞에서, 학생 여러분, “TV나 전자게임에 너무 몰두해 시간 낭비 말라”, 대신 “매일 발행하는 신문을 읽어라, 나도 매일 몇 가지의 신문을 수십 년 읽고 있다.” 특히 고학년 때 신문 “사설”을 계속 읽어 가면, 대학 입시 에세이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는 경험담을 나도 시청했다.


나도 신문 읽고, 좋은 글은 스크랩 하고, 머리와 시각으로 심독하며, 매일 일어나는 생생한 산지식 중, 지식층이 쓴 논설을 읽으니, 나도 모르게 머리재산이 축적되어 감을 느끼며 산다. 각설하고.


여름 외할아버지 기일 때, 외갓집 가는 데, 큰 고개인 초계 재를 넘어야 한다. 어린 애니, 산중턱이면 힘 든다. 6시간 정도 걸어가야지 적중면 끝 마을 횡포리다. 고개 내려가면 내 어릴 때 친구도 보고, 어머니 외가 친척도 잠시 보고 가자며, 나는 동구 밖 큰 바위에 앉아 쉬어라 하신다. 시장하지 하시며, 아침 일찍 만드신 흰떡과 쑥떡을 먹고 있어라 주신다. 그때 먹었던 떡 맛은, 50년이 지난 지금도, 이웃가게 즐비한 떡 맛과 비교를 할 수가 없단 말이다.


무더운 날 여름, 우산 하나 없이, 이바지 떡보따리 머리에 이고, 먼 길 걸어오신 어머니와


나는 외갓집에 도착했다. 외가 2누나는 원두막에 가자며, 나를 데리고 갔다. 참외와 줄무늬난 속이 단단해 씹을 것이 있는 꿀맛 참외 맛은, 일 년 내내 내 입안을 침 나게 만든다.


큰 외삼촌도 유교 집안이라, 아침, 저녁으로 명심보감을 읽고, 혼자 외우시기도 하셨다.


글을 배우면 써 먹어야 한다. 너 작은 외삼촌 알지. 어릴 때부터, 서당에 다니고, 글을 많이 배웠다. 그러나 배운 것을 써먹지 못하는, 암글 즉 어두운 의미의 배움이니, 너! 작은 삼촌 닮지 마라! 훈육 하셨다. 지금 생각 하니, 우리 교육도 미국보다 먼저, “배우면 바로 사용하는 교육”, 실용주의 즉 Pragratism을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실천 또는 실행을 못하였다는 것이리라…. 어느 덧, 50여년의 시간이 훌쩍 지나가 버렸다. 오래 전 외갓집은 허물어 졌고, 외사촌들은 모두 부산으로 이사 가서 손자들이 수두룩하다.


가야산에서 내려오는 황강 줄기에, 큰 나룻배에 버스와 사람을 함께 싣고, 뱃놀이 하던 시절, 여름에는 고기 잡고, 수영 배웠던 곳, 겨울에는 얼음 썰매를 타고, 큰 망치로 얼음을 깨고, 잡았던 민물고기, 식당 하던 큰 누나가 매운탕 끓여 줘, 맛있게 먹었던 기억들이 그리운 것이다.


애기가 태어나면, 친탁이다 외탁이다 누구나 듣고 자란다. 어머니 말씀에 너는 외탁을 좀 했다는 얘기가 내 귀에 들리는 느낌이다.

편집부 기자 / 입력 : 2011년 12월 17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경남도·의령군 ‘버스 공영제’ 맞손..
“벚꽃 만발한, 이 아름다운 학교가… ” 추억 아프게 되새긴 궁류초 총동창회..
의령군민문화회관 창작 오페라 ‘춘향전’ 공연..
표천길의 애국시 ‘무궁화 꽃이… ’ 낭송 강약 감정이입 주력 대전 임연옥 대상..
봉수초 총동문회 19차 정기총회 성료..
50회 의령홍의장군축제⌜향우 만남의 장⌟에서 고향사랑 기부 4천만 원 ‘잭팟’ 터져..
악보 필사본 두 손으로 부여잡고 제창한 기억의 결정체 송산초 교가..
태양광 발전시설 규제 더 한층 강화..
가족의 사랑과 상처, 그리움과 화해 ‘비손’으로 풀어낸 장구 송철수 이야기..
죽전초 총동문회 11차 정기총회 성료..
포토뉴스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종철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8,852
오늘 방문자 수 : 3,783
총 방문자 수 : 18,805,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