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마을 침수피해주민대책위원회는 8일 수자원공사의 침수원인 조사결과에 대한 반박 기자회견을 했다.
이날 주민대책위는 “이번 조사는 성산들녘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한 침수문제로 인하여 제기된 조사였다. 그리고 사건발생시점에서 시간이 많이 지체된 뒤였으며, 침수현상이 벌어진 초기현상이 유지되지 못하고 침수원인으로 지목된 둔치의 투기장에 가배수로를 설치하고 난 이후였다”며 “따라서 투기장 운영과정과 침수현상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주민 대상의 탐문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주민대책위는 “지난 수십년간 성산들녘에서 농사를 지어온 주민들은 그동안 단 한 번도 갈수기인 가을에 농지침수를 경험해본 적이 없다고 중언하고 있다”며 “그런데도 수공은 이번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주민들이 그동안 침수문제를 인식하지 못했을 뿐이지 성산들녘의 침수문제는 있었던 사실이라고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주민대책위는 “침수 당시 비가 온 것도 아니었고 성산들녘의 배수로는 바닥이 드러나 있었다. 성산들녘은 배수장이 가동되고 있으며, 이 배수장으로 연결되는 배수로가 들녘 한가운데를 가로 질러 설치되어 있어 이 배수로를 통해 농지의 모든 물이 배수되기 때문에 배수로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동안에는 농지 침수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리고 주민들은 침수현상이 확인되자 자구책으로 논에 배수로를 더 깊이 팠으며 양수기까지 동원하여 물을 떠냈다. 수공의 이번 조사결과는 도무지 납득이 어려운 짜맞추기 결과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주민대책위는 ▲수자원공사의 용역조사 보고서 전문 공개 ▲조사결과에 대하여 지역 전문가와 공개 토론 ▲주민과 주민이 추천하는 전문가가 참여하는 조사 실시 등을 요구했다.
앞서 수자원공사는 지난달 23일 "성산마을 농경지 침수는 물이 빠지지 않는 불투수층인 논흙에 비가 내리거나 관개용수가 유출되면 지하로 이동에 제한되는 지형적 여건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한 현상"이라며 4대강사업과는 무관하다는 내용의 용역결과 설명회를 개최하려 했으나 주민반발로 무산됐다. 유종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