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8-19 23:50:3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포토뉴스

의령신문 창간11주년 휘호


편집부 기자 / 입력 : 2010년 08월 18일

君何先達我何遲 秋菊春蘭各異時


莫誇當年先折桂 月中猶有最高枝


 












“그대는 어찌 먼저 출세하고 나는 어찌 이리 늦는가(君何先達 我何遲). 가을엔 국화, 봄에는 난초, 각각 때가 다른 것이니(秋菊春蘭 各異時). 당년에 먼저 계수나무 가지를 꺾었다고 자랑하지 말게(莫誇當年 先折桂). 달 가운데 제일 높은 계수나무 가지는 여전히 남아있다네(月中猶有 最高枝).”


누구나 매사에 조급함 없이 각자의 본분에 충실하며 때를 기다릴 줄 아는 겸손의 미덕을 지녀야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세간에 ‘자성문(自省文)’ 혹은 ‘영절계(詠折桂)’ 등의 시명(詩名)으로 알려진 이 시는 임진왜란 때 경상우도 관찰사를 지낸 鶴峰 金誠一(1538~1593), 암행어사 박문수(1691~1756), 김삿갓(金炳淵1807~1863) 등의 시에도 인용되고 있다.


이 漢詩의 출처는 한성부좌윤과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송제(松齊) 나세찬(羅世纘:1498~1551 전남 나주)의 ‘贈安正字’시 일 것으로 추정된다. 휘호의 시문이 ‘증안정자’ 시 중 ‘各時’, ‘莫’, ‘月中’을 각각 ‘各時’, ‘莫’, ‘廣寒’으로 다르게 표현했을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


휘호는 宜亭(의정) 전무수(田珷秀·정곡·사진) 재부의령군향우회 고문이 의령신문 창간 11주년 기념 축하로 썼다. 사)韓國秋史體硏究會 명예회장으로 있는 의정은 대한민국 사회교육문화상(제131호), 전국서예대전 대상, 국제현대미술대전(일본) 초대작가상 등을 수상, 대표 작품에는 대한민국독립기념관 소장 대형액자(盡忠護國), 육군본부 해군사관학교 소장 대형액자, 천태종총본산 소백산 구인사 표지석 수비 등이 있다.

편집부 기자 / 입력 : 2010년 08월 18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임시정부 독립자금 60% 조달… 실질적 독립운동 기반..
용덕 출신 전재수, 해수부 장관 취임..
南 제2 출렁다리·北 도깨비마을(?) 관광 균형 발전 도모..
“‘공간’에 ‘서사’ 더한 교육의 미래 실현”..
어린 시절 외갓집 가는 풍경처럼 의령예술촌 ‘2025 여름낭만전’ 열려..
민생 기동대 현장 출동하면 의령 생활민원 수리수리 뚝딱 해결..
정곡중 마영민, 개인 단식 우승 ‘파란’..
의령 동부농협, 주부대상 보이스피싱 예방교육실시..
대의 집중호우 피해 주민들에게 구성 식당가, 릴레이 점심 나눔 행사..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피해 복구비의 70%, 국가가 지원..
포토뉴스
지역
HD현대미포 초롱회·창원시 자원봉사센터 대의면 수해 복구 구슬땀..
기고
김상권 전) 경남교육청 교육국장..
지역사회
투쟁 차원 넘어선 실천적 민족경제 건설..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재훈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10,565
오늘 방문자 수 : 12,780
총 방문자 수 : 19,83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