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으로 충해 심하게 나타나
완판 수 기록마다 제각각 '혼란'
의령판 난중일기인 정곡면 용사일기 책판이 전반적으로 충해를 심하게 입고 있는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또 문화재 정보 내용과 관련, 용사일기 책판 수가 안내 매체마다 다르게 기록돼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의령신문이 지난 15일 용사일기 책판 현황을 취재하고, 앞서 지난 2007년 안동 한국국학진흥원이 용사일기 책판 현황을 조사한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한국국학진흥원 기초학문육성팀 박순 박사에 따르면 용사일기 책판은 전반적으로 충해를 심하게 입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용사일기 책판 8장, 천장계 책판 1장이 훼손 됐고, 용사일기 책판 1장이 삭제 됐고, 용사일기 책판 3장이 파열 됐다는 것이다.
특히 서 책판 1장은 진주박물관에 대여 전시 중이지만, 용사일기 책판 1장은 결락된 것으로 확인 돼 관리에 문제점을 드러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사일기 책판은 완본 수 43장 중에서 3분의 1이나 훼손 삭제 파열 결락 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5일 함휘각. 용사일기 책판은 번호순으로 42장 오른쪽 위 서가에 가지런하게 꽂혀 있었다. 16번 자리에는 책판이 번호없이 있었고, 27번 자리에는 책판이 아예 빠져 있었다. 43번 다음에 책판이 번호없이 꽂혀 있었다.
고성이씨 은암공파 문중 이종윤(79) 어르신도 용사일기 책판 완본 수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종윤 어르신은 오는 24, 25일 주말에 용사일기 완판 수를 다시 한 번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함휘각 앞 안내판은원래의 책판은 총 88매로 만들어졌지만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상당 부분 없어지거나 파손되어 지금은 그 절반인 44매만 보관되어 있다, 지난 2001년 의령군 의령문화원에서 발행한 의령의 역사 문화 유적은 88매 중 일부 유실되고 48매 남아 있다고 적어 오히려 지역 문화재에 대한 바른 이해를 저해 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용사일기 책판 관리에 대해 한국국학진흥원 박순 박사는 현재 방충 방습시설로는 미흡해 위탁관리를 제의한 바 있다며 문화재를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종윤 어르신은 현재 관리는 미흡한 상태이지만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위탁관리는 문중에서 결정해야 한다며 쉽지 않은 문제라고 했다.
군 관계자는 민간소유 문화재는 민간에서 관리해야 한다며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화재 정비사업에 한해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종철 기자
용사일기는
壬辰倭亂 때 鶴峯 金誠一의 활동 및 전쟁상황에 관하여 李魯가 기록한 日錄. 1卷 1冊.
龍蛇日記는 李魯가 임진왜란 당시 김성일의 활동을 중심으로 전쟁의 상황과 경과에 대하여 기록한 것으로, 1590년(선조 23) 통신사로 황윤길과 함께 일본을 간 사실에서부터 1593년 4월 진주성에서 사망할 때까지의 일을 기술하고 있다. 학봉이 전쟁 중에도 농사를 권하고 군량을 판출하며‚ 분쟁을 화해시켜 원한에 대적하게 하고 군무에 힘을 다하다가 죽음에 이르러서도 나라를 걱정한 충정이 잘 드러나 있다.
구성은 △序 : 徐命瑞 △敎慶尙道士民等書 △龍蛇日記 △跋 : 李象靖 △天將啓으로 돼 있다.
이 책은 저자의 연보로 미루어 1597년에 진주에서 돌아와 고향의 문수산에서 쉬고 있을 때 완성했음을 알 수 있으며, 異本으로 文殊志가 있는데 松巖先生文集권4와 鶴峯先生逸稿부록 권2에 수록되어 있다. 卷首에 1762년에 徐命瑞가 쓴 序가 있다. 이어서 1592년에 선조가 경상도 사민에게 내린 교서인 「敎慶尙道士民等書」가 나오며 본문인 「李松巖龍蛇日記」가 이어진다. 그 다음에는 「上天將啓」와 李象靖의 跋이 있으며 卷末에는 김성일과 李魯‚ 趙宗道 三人이 촉석루에서 항전의 뜻을 결의하고 전쟁이 끝난 후 다시 만날 것을 시로 지어 벽상에 새겨 놓은 「附矗石樓三壯士詩」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4월부터 약 15개월 간의 전쟁상황이 자세하고 사실적으로 기록되어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직접 체험한 의병들의 활약상, 민심 동향, 전란의 진행상황 등을 기록한 난중일기라 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다.
책판 현황
구 분 |
내 용 |
수 량 |
현 존 |
결 락 |
序 |
|
0 |
1 |
敎書 |
(1,2) |
1 |
0 |
龍 蛇
日 記 |
(1,2)(3,敎書-3)(4,空)(5,6)(7,8)(9,10)(11,12)(13,14)(15,16)(17,18)
(19,20)(21,22)(23*훼손판,24*훼손판)(25,26)(27,28)(29,30)(31,32)
(33*훼손판,34)(35*훼손판,36*훼손판)(37,38*훼손판)
(39,40*삭제판)(41*훼손판,42*훼손판)(43,44)
(45*훼손판,46*훼손판)(49,50)(51,52)(53,54)(55,56)
(57*파열판,58*파열판)(59,60)(61*파열판,62*파열판)
(63*파열판,64*파열판)(65*훼손판,66*훼손판)
(67*훼손판,68*훼손판)(69,70)(71,天將啓-7) |
36 |
1 |
跋 |
(1,2) |
1 |
0 |
天將啓 |
(1,2)(3*훼손판,4)(5,6) |
3 |
0 |
계 |
|
41 |
2 |
序(1,2)는 현재 진주박물관에 대여, 전시 중
→ 총 43장 중 1장 결락(47,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