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부지 바닥나자 뒤늦게 나서…” 지적도
군내 산업단지가 3군데에서 추진된다.
‘지방산업단지 입지 심의회’에서 군은 이같이 가닥을 잡았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서부, 동부지역에 각각 1개씩, 그리고 중간지역에 1개 등 군내에 지방산업단지 3개를 추진키로 가닥을 잡았다고 군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군은 2008년도 주요업무계획에서 사업비 300억원을 들여 공장입지제한지역인 지정면, 정곡면 일원을 제외한 지역에 30만㎡ 정도의 지방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사업기간은 2010년까지 3년이라고 군은 덧붙인 바 있다.
그러면서 군은 기대효과로 농업위주의 지역산업구조를 농·공업 복합형의 산업구조로 개선하고 일자리 창출로 상주인구 증가 및 지역소득 증대 기여 등을 그 기대효과로 내세운 바 있다.
그러나 지난해 말로 지난 90년대 조성한 군내 5개 농·공업단지는 분양을 완료한 상태다.
이에 따라 공장부지가 바닥을 드러낸 상황에서 군이 뒤늦게 공장부지 확보에 나서는 형국을 이뤄 상대적인 저발전의 고착화를 스스로 재촉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공단조성에는 2∼4년 통상적으로 소요된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행정절차를 통합 처리하는 특별법에 힘입어 지방산업단지 조성일정을 단축시켜 공장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유종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