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8-20 17:55:5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전체

그 다리는 누구의 것인가


조기성 기자 / 입력 : 2007년 09월 10일

그 다리()는 누구의 것인가?


 


-일명 내 다리() 내 놔라 사건


 


<배경 설명>


 


때는 보릿고개로 해마다 사람들이 고통을 겪고, 소나무 껍질도 다 벗겨먹고, 진달래도 모두 따 먹고 나서 막바지에 이르러 정말로 사람들이 굶어 죽게 되었을 때의 일입니다.


먹을 것을 찾으러 다니던 어느 고을의 甲이 길을 지나가다가, 길거리에 굶어 죽어 쓰러져 있는 한 사람()을 발견하였습니다. 그 순간 甲의 머릿속에 번개처럼 스치고 지나가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집으로 쏜살같이 달려간 甲은 헛간에서 도끼를 꺼내어 숫돌에 잘 갈았습니다. 그리고 도끼를 허리춤에 차고는 쓰러져 있는 乙에게 다가가 乙의 다리() 한 쪽을 도끼로 힘껏 내리쳤습니다.  그리고는 잘라낸 다리 한 쪽을 품에 안고 집으로 달려갔습니다. 그런데 죽은 줄 알았던 乙은, 다리 한 쪽이 뜨금하여 눈을 떠 보니, 자기의 다리 한 쪽이 사라지고 누군가가 자기 다리 한 쪽을 안고 도망가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이 때 乙의 머릿속에도 번개같이 스치고 지나가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는 한 발로 껑충껑충 甲을 쫓아가며 소리칩니다.


 


내 다리() 내 놔라!!! 내 다리 내 놔라!!!


 


 


 


<문제>


 


당신이 만약 그 고을의 사또나 원님, 혹은 지금의 판검사, 변호사 혹은 장관이나 대통령이라면 그 다리()는 누구의 소유로 결정내리겠습니까?


 


 


<甲의 주장>


 


나는 내 도끼를 숫돌에 열심히 갈았고, 또한 죽을 힘을 다해 내리쳤다. 나의 노동의 대가다.


나는 乙은 이미 죽은 줄 알았다.


이미 乙의 다리()는 乙의 몸에서 분리되었다.


 


 


<乙의 주장>


 


그건 당연히 내 다리다.


네가 내 숨이 끊어진 걸 확인해 봤느냐?


그래도 그 건 내 것이다.


 


 


<함정>


 


사람의 신체는 소유권의 객체가 될 수 없으므로 누구의 소유물도 될 수 없다 이렇게 말하지 마세요. 그러면 甲,  둘 다 굶어 죽게 됩니다.


 


 


<보상>


 


위의 문제를 풀어 낼 수 있는 사람에게는 거액의 보상금을 타서 담을 수 있는 종이가방을 증정할 예정입니다.


 


 


 


글쓴이 : 조기성(曹基成)


글쓴날 : 2007년 5월 19


gscho20@hanmail.net


zau2@naver.com


http://blog.naver.com/zau2


 


 


< 餘 滴 >


 


쌀의 눈


 


camping 가서 쌀을 씻다가 문득 생각이 들었다..


 


...쌀에 눈이 없네...영양소가 많다던데...


 


도대체 쌀의 눈은 어디로 갔을까?


 


 


 


- -

조기성 기자 / 입력 : 2007년 09월 10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임시정부 독립자금 60% 조달… 실질적 독립운동 기반..
용덕 출신 전재수, 해수부 장관 취임..
“‘공간’에 ‘서사’ 더한 교육의 미래 실현”..
南 제2 출렁다리·北 도깨비마을(?) 관광 균형 발전 도모..
어린 시절 외갓집 가는 풍경처럼 의령예술촌 ‘2025 여름낭만전’ 열려..
민생 기동대 현장 출동하면 의령 생활민원 수리수리 뚝딱 해결..
정곡중 마영민, 개인 단식 우승 ‘파란’..
대의 집중호우 피해 주민들에게 구성 식당가, 릴레이 점심 나눔 행사..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피해 복구비의 70%, 국가가 지원..
가례면 ‘퇴계 선생 처갓집 가는 길 조성사업’으로 제2 출렁다리, 내년 건설 추진된다..
포토뉴스
지역
경남동부보훈지청 제대군인지원센터 “기업체 인사 간담회”개최..
기고
김상권 전) 경남교육청 교육국장..
지역사회
투쟁 차원 넘어선 실천적 민족경제 건설..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재훈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12,895
오늘 방문자 수 : 9,850
총 방문자 수 : 19,84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