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리법인 의료기관 도입 주장에 대한 검토
김응철 기자 / 입력 : 2006년 02월 23일
영리법인 의료기관 도입 주장에 대한 검토
□ 영리법인 허용 주장의 주요내용 ○ 영리법인 의료기관이란? - 의료서비스 산업에 외부자본 유입을 허용하여 자본투자자에게 이윤배분을 허용하는 기관 ○ 영리법인 의료기관 허용 주장의 논거 - 민간부문 자본투자로 의료기관 자본조달 방법의 다원화 - 의료기관 운영에 경영기법을 적용하여 윤영의 효율화 추구 - 의료기관들간의 경쟁에 따른 의료서비스 질 향상 - 보건의료부문에서 고용창출 □ 의료서비스의 불균등성 심화 ○ 영리법인 목표는 투자자의 이익 증대로 수익이 많은 치료위주의 서비스 제공으로 특정 영역에 국한된 의료서비스 질적 향상이 도모됨. ○ 미국의 진료내용을 분석한 결과, 영리법인 의료기관이 수익성이 예상되는 진료에는 민감하나 수익성이 낮은 영역에는 소극적으로 나타남 - 수익성이 높은 심장절제 수술의 경우, 영리병원은 공공병원에 비해 13.0%, 비영리병원에 비해 7.3% 증가함. - 수익성이 낮은 정신과 응급진료의 경우는 영리병원이 공공병원에 비해 15%, 비영리 병원에 비해 8.4% 낮게 나타남. □ 행정관리 비용의 증가로 비효율적 운영 ○ 미국의 경우 영리법인이 관리운영비, 의료비 등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남. - Medicare 지출 데이터 분석한 결과, 행정관리비의 비율은 영리병원은 34.0%, 비영리병원은 24.5%, 공공병원은 22.9%였음. - 특정지역에 영리 의료기관만 존재할 경우의료비용이 증가함. 1997년 캘리포니아 San Luis Obispo County의 병원합병 결과 영리의료기관이 독과점적 위치가 되면서 의료비는 53% 증가하였음.
○ 영리법인은 아니지만 민간위탁 이후, 입원환자의 일당 진료비가 증가.
□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 ○ 영리법인 의료기관 설립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겠다는 주장도 미국의 경험을 볼 때, 전혀 근거가 없음. ○ 미국 "US News and World Report"가 매년 의료기관의 질을 평가한 결과, 상위 랭킹 1위~14위까지는 모두 공공병원 및 비영리병원이 차지함. ○ HMO(Health Management Organization)를 영리와 비영리로 구분하여 결과에서도 임상진료의 모든 분야에서 비영리 의료기관의 의료 질 높음
○ 우리의 경우, 비영리법인 상태에서도 의료서비스의 질은 세계적으로 높음. - 2005. 5에 대한의학회의 '의료기술 수준 조사' 결과, 암 치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은 선진국과 동등하였으며, 인공와우․간․신장․골수․조혈모세포 이식술 역시 선진국에 결코 뒤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 불투명한 고용창출 효과 ○ 영리법인 의료기관은 수익 극대화, 경영 효율화를 위하여 인건비를 줄이고자 하며, 그 결과는 고용감소와 고용불안임. - 1987년 1998년 사이 영리병원으로 전환한 미국 병원들의 경우 수익성이 적은 응급실 폐쇄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인건비를 감소시켜 수익성을 증가하고자 했음. - 그 결과 OECD 국가중 영리법인 의료기관이 가장 활성화된 미국의 병상당 고용인력은 4.8명으로, 의료의 공공성이 가장 높은 수준인 영국의 5.7명 보다 낮은 수준임. ※ 우리나라(0.9명)의 겨우 고용창출이 낮은 원인은 영리법인 문제가 아닌 민간의료기관의 비중이 세계에서 가장 높고 고용유발 효과가 큰 노인요양제도, 요양병원, 간병서비스 등 공공보건의료 인프라가 취약하기 때문임. |
김응철 기자 /  입력 : 2006년 02월 23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