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수한지 더이상 방치 안된다
양측 군 주선·참여 대화 원해 당사자 합의외엔 대책없어
허동정기자 기자 / 입력 : 2001년 08월 28일
`봉수면 한지 무형문화재 선정'이 도·군의 방치행정과 기능보유자 `적자' 논란으로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4년째 표류하고 있어 봉수 한지를 아끼는 군민들을 애태우고 있다. 도와 군 관계자는 "봉수면 한지 무형문화제 기능보유자 1명을 선정해야 하나 후보자 2명 모두가 정통성을 주장하고 있어 98년 이후 선정을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도와 군은 선정 당사자 합의 이외에는 별다른 해결책이 없다며 이 문제를 방치, 충분한 사전조사가 없었다는 것과 사실상 방치행정이란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경남도 관계자는 "한지와 같은 개인 문화재 기능보유자 선정은 1명밖에 될 수 없다"며 "봉수한지는 두 당사자의 대립으로 합의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고 토로했다. 의령군 관계자도 "합의외는 대책이 없다"며 "행정적으로는 사실상 할 일이 없는 것 같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군민들은 도는 군으로 군은 면과 당사자에게로의 책임을 회피하는 것 같은 인상을 주고 있어 해결책 유보라는 지적이다. 이 문제는 98년 의령군이 무형문화재 조사 후, 지난해 봉수면 서암리 박 모씨를 기능보유자로 추천하고, 강 모씨를 한지 보존회 회장으로 선임하면서 불거졌다. 박씨는 "주민들도 알고있는 내용이지만 우리가 봉수한지를 3대 이상 생산한 전통 가문인데 당연히 선정되어야 하는 게 아니냐"고 주장했다. 강씨 측은 "한지 생산의 전통은 물론이고, 한지 생산을 현재까지 생업으로 하고 있는 우리가 기능보유자로 선정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같이 선정 당사자간의 심한 의견차이와 불화로 자칫 문중 싸움으로까지 번질 위기에 처해 있어 당국의 중재와 대책마련이 절실해 보인다. 현재 의령군 봉수면은 한지 생산량 국내 30%를 차지해 전국 최고의 한지 생산 메카다. 군민 C씨는 "어쩌면 사장 위기에 처한 봉수 한지의 계승과 생산보다는 밥그롯 싸움으로 비쳐 안타깝기만 하다"고 우려했다. 다행히 양측은 문제해결을 위한 대화를 가지자고 해, 군 관계자가 주선하고 참여하는 만남의 장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허동정기자 기자 /  입력 : 2001년 08월 28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