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가마 공공비축배정 받아
11일 농민단체 군수 면담에서
적재 전량 매입키로 결정돼
지난해 10월 쌀 협상안의 국회 비준에 반발해 농민들이 3개월째 군청 앞에 적재한 나락(본지 144호 2005년 10월28일 보도)의 처리 문제가 해결의 가닥을 잡았다.
11일 농민단체와 군수와의 면담에서 군이 경남도로부터 공공비축 1만 가마를 배정받아 적재된 나락 전량을 매입키로 했다는 것이다.
군 농림과 유통담당 관계자는 ꡒ일반농가에서 자가 소비용을 제외하면 보유 물량이 없기에 일단은 공공비축 기준에 따라 매입하고 손실분과 매입하지 못하는 나락에 대한 보상관계는 차후에 논의하기로 했다ꡓ며 ꡒ적재된 나락의 현 상태를 알 수 없기에 16일부터 내용물의 상태를 점검한 후 매입하기로 했다ꡓ고 밝혔다.
이에 따라 3개월째 적재된 나락을 싸고 조성된 농민단체와 행정기관간 갈등의 해소에 실마리를 찾게 됐다.
이에 앞서 지난 1월 6일 농민단체, 군 관계자, 농협 관계자가 모인 자리에서 적재된 나락을 40㎏기준 4만8천원에 매입해 달라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특히 의령의 경우 경남 20개 시․군 지자체 중 1만3천여 가마로 다른 지역 3천~5천 가마에 비해 최고 5배까지 많이 적재해 이견을 좁히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군 농민회 전병원 사무국장은 ꡒ다른 지역에 3천~5천 가마가 적재된 것에 비해 의령군에 적재된 쌀이 많은 것은 그 만큼 우리 군 농민이 어렵다는 것 아니겠냐ꡓ고 말했다.
군 농림과 관계자는 ꡒ적재된 나락을 해결키 위해 공공비축 기한이 지난해 연말까지였음에도 불구하고 오는 1월 말까지 연기하고 도청에 공공비축용으로 1만 가마를 추가 배정받게 된 것이다ꡓ며 ꡒ다른 지자체에 비해 적재된 쌀이 많아 어려움이 많았다. 나락은 수분 함량에 따라 구분하고 40㎏씩 다시 포장을 해야 할 것ꡓ이라고 말했다. <최진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