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내 20여개 언론사가 함양에서 지역언론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경남지역신문발전위원회(위원장 정학구)는 지난 11월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간 함양읍 인산연수원에서 2024년 경남지역신문발전 세미나를 개최했다. 주간함양이 주관한 이번 세미나에는 우선지원대상사 14개사와 일반공모대상사 13개사 등에서 70여명의 기자들이 참석했다.
정학구 위원장은 “지역과 언론이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며 “이번 세미나가 지역 발전을 위해 지역 언론의 역할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기획기사를 보도한 14개 언론사가 각 기사에 대해 발표했다. 이 중 경남 여성농민의 실태를 보도한 경남신문 김태형 기자가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농업 문화유산인 토종종자를 지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 주간함양 최학수 PD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경남 해양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경남도민일보 이서후 기자, 빈집의 재발견을 보도한 고성신문 최민화 기자가 우수상을 받았다.
올 한 해 경남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을 통해 추진한 우수사례는 지역민이 직접 선정하고 취재한 지역밀착형 기사를 정기적으로 보도하는 내용을 담은 한들신문이 최우수상, 역량있는 시민기자를 발굴한 남해시대와 사라져가는 지역의 골목길을 기록한 통영신문이 우수상을 수상했다.
세미나 1일차에는 이정환 슬로우뉴스 대표의 ‘언론 환경 변화에 대한 대처’ 특강이 진행됐다.
이정환 대표는 “세상을 바꾸는 강력한 신문을 만들어야 한다. 강력한 신문은 광고와 구독으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며 “단순히 주목받는 아이템이나 멋진 주제만 찾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취재와 글쓰기 과정에서 어떤 변화와 해법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고민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면서 각자의 답을 찾아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2일 차에는 김갑봉 인천투데이 편집국장이 강연자로 나서 ‘인공지능 시대, 지역 언론의 새로운 길’을 주제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지역 언론의 다양한 전략을 제시했다.
김갑봉 국장은 “지역언론의 미래는 인공지능 기술과 혁신적 사업 모델의 결합에 달려있다. 디지털 기술 발달과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언론 산업에 위기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라며 “지역언론은 독자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지식정보 제공 서비스, 인공지능 기자 활용,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수익 창출 등 다양한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지역신문협의회 연합기사
|
 |
|
ⓒ 의령신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