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등산화 등 개인용품 구입에 회삿돈 30억‘펑펑’
- 2022년 1월부터 20개월간 전수조사, 1억 8천만원 사적유용 확인·솜방이 처벌 - 언제부터 얼마나 많은 회삿돈 썼는지 확인불가, 기간에 따라 수백억 유용 가능성 - “국민혈세를 ‘쌈짓돈’처럼 사적으로 유용한 범죄행위, 재발방지 위해 법적 기준필요”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 입력 : 2024년 10월 31일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이어폰과 찜질기 등 개인용품을 구입하는데 일부 직원들이 회삿돈을 써 온 사실이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상웅 의원(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가전과 의류, 신발류 등 업무 연관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4만 2천여 물품 구입을 위해 29억 9천여만원을 지출했다.
이 가운데 한수원 감사실 직원 2명이 사적유용으로 확인한 1천 25개 품목, 1억 8천여만원에 대해서만 환수 조치했고, 220명에 대해 최대 감봉 1개월의 처분을 내리는 등 솜방망이 징계에 그쳤다.
나머지 28억이 넘는 물품들은 공적 용도로 구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일괄적으로 ‘개선명령’을 내렸다.
등산복, 스마트워치, 전동칫솔 등 명확한 기준이 없다보니 동일한 종류의 품목임에도 환수조치의 결과가 달라지는 등 감사시스템의 허술함도 드러났다.
한수원 감사실은 2022년 1월부터 20개월간 회계전표를 조사하고,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음에도 감사실 인력부족 등의 한계로 추가 감사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언제부터 얼마나 많은 회삿돈이 개인물품을 구입하는데 쓰여졌는지 가늠할 수 없고, 기간에 따라 수십억에서 수백억이 사적으로 유용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사태가 ‘빙산의 일각’이라고 의심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이유다.
박상웅 의원은 “한수원의 이번 사태는 공공기관의 도덕적 해이 수준을 넘어 국민혈세를 ‘쌈짓돈’처럼 사적으로 유용한 범죄행위와 다름없다”면서 “부적절한 예산 사용이 더 없었는지 내부감사를 통해 명명백백하게 가려내야 하고, 무분별한 예산 남용을 막을 명확한 법적 기준을 만들어야야 한다”고 밝혔다.
|
 |
|
ⓒ 의령신문 |
| |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  입력 : 2024년 10월 31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