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내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이 10일 착공될 예정이었지만 문화재 지표조사 및 농작물 보상 문제로 연기됐다.
10일 한국농어촌공사의령지사(지사장 이선일)는 이날 낙서 전화지구, 낙서 내제지구, 지정 오천지구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을 이날 우선착공할 예정이었지만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지구에서 우선착공이 이처럼 연기된 것은 인근 함안에서 문화재가 출토돼 사업지구 전체에 대해 문화재 지표조사를 해야 한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한국농어촌공사는 그동안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 지구가 경지정리된 지역이라는 점에서 그 이전에 문화재 지표조사를 마쳤다고 보고 더 이상의 문화재 지표조사를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는 이들 우선착공 사업지구의 농작물 보상 문제가 마무리되지 않아 민원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보상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고 나서야 우선착공도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우선착공은 이달 말에서야 비로소 가능할 것이라고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덧붙였다.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은 이들 우선착공 지구와 함께 낙서 율산지구, 낙서 아근지구도 포함하고 있다.
인근 농민들은 ▲남재지구 ▲성산지구 ▲유곡지구 ▲수월지구 ▲율산2지구 ▲낙서지구도 농경지 리모델링 지구로의 추가지정을 요청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남재지구는 두곡지역에서 0.065㎢ 지하수 영향지역으로 조사돼 국토해양부에서 별도 관리키로 했다고 했다. 또 ▲유곡지구는 기본조사를 완료하고 ▲수월지구는 오천지구에 포함해 추진하고 ▲성산지구 율산2지구 낙서지구는 예정지로 보고된 상태에 있다고 밝혔다.
농경지 리모델링 추가지정과 관련, 한국수자원공사는 지하수 영향이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농어촌공사와 협의해서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지하수 영향이 없다고 조사된 다른 지역은 4대강 살리기사업 토공계획이 확정되었고 여유 토량도 없어 곤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농경지 리모델링 추가지정을 기대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은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하천에서 퍼낸 준설토를 활용해 농지를 하천보다 높임으로써 침수를 예방하는 사업이다. 유종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