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하> 고향 쌀 애용, 愛鄕의 실천
의령 기자 / 입력 : 2001년 09월 25일
추수를 눈 앞에 둔 의령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농민들이 깊은 시름에 잠겨 있다. 유례 없는 2년 연속 대풍으로 올해의 쌀 값 하락, 이로 인한 농가부채의 증가 예상에다, 정부마저 2004년 WTO와의 쌀 시장개방 추가협상을 대비해 `쌀 증산 정책 포기'와 그 `전면적 재검토' 사이를 근본적 대책 없이 오락가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이같은 상황이 이미 농지가격 하락, 농사 의욕상실 등 심각한 문제점을 보이고 있어 이대로 나간다면 곧 농촌의 총체적 와해를 초래할 것이란 사실에 있다. 우리의 농업과 농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정부의 쌀 산업발전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최근 군내에서는 농지가격이 최고 30% 하락해도 구매자가 없고, 농사를 포기하고 음식업 등으로 전업하려는 농업기피 및 농업 황폐화의 증후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그러지 않아도 고령화 지수 전국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우리 지역의 농업은 쌀 농사 외 변변한 특수 농작물도 없는 소규모 농이어서 해가 갈수록 농가부채에 허덕이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의령지역에서는 정부의 쌀 수매약정 물량과 의령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쌀 구매량과 지역 자체소비량 등을 제외하고 팔 곳 없어 남아도는 쌀이 9월말 현재 약 9천톤, 엎어진데 덮친 격으로 여기에 올해 쌀 생산량 중 약 7천여톤이 또 팔 곳 없어 잉여분으로 보태질 전망이다. 이에 대한 다양하고 총체적인 대책이 시급히 요청된다. 여기에는 우선 정부의 쌀 증산정책 유지란 큰 틀 속에 농민의 요구에 어느 정도 근접하는 쌀 수매량 및 수매가 유지, 쌀 값 하락에 대한 보전책 강구, 논농업직접지불제 및 산물벼수매 확대, 재고미해결을 위한 쌀 소비증가운동 방안을 골자로 한 중·장기 쌀 산업정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농협 RPC에 적자보전을 위한 지원자금금리를 인하해 현실성 있게 쌀 값 계절진폭율을 자율적으로 조정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의령농협과 의령우체국이 고향의 농업을 살리기 위한 고향 쌀 판매사업을 의령군의 후원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 사업에는 경향각지 향우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대 필요하다고 본다. 고향의 맛이 듬뿍 담긴 고향 쌀을 향우들이 가능하면 지속적으로 구매해 먹는 운동을 향우사회에서 전개해 나갔으면 한다. |
의령 기자 /  입력 : 2001년 09월 25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