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11 18:37:1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인물뉴스

숲속의 나무들이 가마이 서있는거겉제 박상틔우는 이바구꽃이 ‘천지삐까리’다

김복근 시조집<천지삐까리> 펴내
겡상도 토박이말로 100수 수록
입말로 읊조리고 3장 4음보 지켜
시조의 새로운 미학 개척 가능성?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입력 : 2025년 07월 11일
 
ⓒ 의령신문  
숲속의 나무들이 가마이 서있는거겉제/ 그속에 들어가보모 온갖말이 다떠돈다/ 잎사구 주디이열고 박상틔우는 이바구꽃 『김복근 단시조집 ‘천지삐까리’에 실린 단시조 ‘천지삐까리’ 전문』
김복근 시조인의 단시조집 ‘천지삐까리’가 지난 7월 8일 도서출판 경남에서 발간됐다.

‘겡상도 토박이말로 읊조리는 단시조 100선’이라고 단시조집 앞표지 왼쪽 위에 달아 이 단시조집의 내용이 한숨에 읽힌다.

1장 ‘눈티가 반티 됐네’에 ‘니캉내캉’, ‘난리버꾸’ 등 20수, 2장 ‘박상 틔우는 이야기꽃’에 ‘천지삐까리’ 등 20수, 3장 ‘오늘이 무신날인지 아능기요’에 ‘물고매’, ‘초로草露’, ‘초로初老·1’, ‘초로初老·2’ 등 20수, 4장 ‘선머스마 마실가듯’에 ‘부석에 군불을 넣다’, ‘가아가가아가’ 등 20수, 5장 ‘고마해라 안쿠나 ‘쫌’’에 ‘에나’, ‘문디이’, ‘서울말 숭을내모’ 등 20수. 모두 100수다.

단시조 제목이 하나하나 재미있다. ‘겡상도 토박이말'이기 때문이다. 또 어려서부터 입에 배인, 살아있는 말이기 때문에 입말과 글말이 어긋나 애써서 리듬을 따라서 시를 써가려고 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김복근 시조인의 ‘천지삐까리’는 눈길을 끌만하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 ‘네이버’ 국어사전을 검색하면, 천지 삐까리는 천지(온 들판)에 있는 삐까리(볏가리)란 뜻으로 많음을 강조하기 위해 같은 뜻의 말을 중복 사용하여 매우 많다는 것을 강조한 말입니다, 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의 단시조집 ‘천지삐까리’의 간판으로 내세운 단시조 ‘천지삐까리’를 보자. 숲속의 나무들이 가마이 서있는거겉제, 라고 화두를 뚝 던지며 묻는다. 하지만 그속에 들어가보모, 온갖말이, 이바구꽃이 다떠돌고, 잎사구 주디이열고 박상틔운다, 라고 읊조린다. 어찌 가마이 서있겠노. 아마도 숲속의 나무들도 분명하게 겡상도 토박이말로 박상틔우듯이 이바구꽃을 피워겠지. 겡상도 토박이말 특유의 억양이 한몫했다면 그날 밤 숲속 나무들, 잠은 다잤다???

한 가지 더. 그는 단시조 ‘천지삐까리’에서 입말을 내세워 리듬이 말하듯이 살았고, 3장 4음보의 우리 전통시조 가락이 지켜져 또 다른 차원의 시조 미학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는 머리글 ‘토박이말로 시조 읊조리기’에서 “이 시조집은 몇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겡상도 토박이말을 살리기 위해 애를 썼다. 
둘째, 띄어쓰기는 『노산시집』(1932)처럼 말할 때의 관습과 글쓴이의 호흡률에 따라 표기했다. 
셋째, 구어체로 쓴 시조가 많아 눈으로 읽기보다 입으로 소리 내어 읊조려야 제맛을 살릴 수 있다. 
넷째, 대일항쟁기, 일제의 시조와 조선어 말살 정책에도 우리말과 우리글 우리 얼을 꿋꿋하게 지켜온 문화 독립운동가들의 옥중 시조를 보면서 경외의 마음을 갖게 된다. 
다섯째, 인공 지능 시대 챗GPT와 차별화되는 시조를 쓰려고 하면 토박이말 사용이 유효할 것으로 예견된다”라고 했다. 유종철 기자

의령신문 기자 / urnews21@hanmail.net입력 : 2025년 07월 11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의령군, 상동 도시재생사업 순항...‘걷고 싶은 골목 조성사업’ 완료..
재경 유곡 향우 박인묵 시인 첫 시집,『오후 3시에 읽는 시』발간..
자굴산 산림휴양시설 숙박·부대·기타시설 이용 꾸준한 증가세 성패 시금석..
의령군 하반기 정기 전보 인사(2025.7.7.)..
귀농 귀촌 코믹 음악극 ‘지금 내려갑니다’ 공연..
의령군·중국 요성시 첫 교류 미술전..
의령신문 2025년 상반기 지면평가..
바르게살기운동 의령군협의회 ‘어르신 생신상 차려드리기’ 행사..
경남도립미술관, 2025년 2차 전시 개막..
‘近者悅 (근자열), 遠者來(원자래)’에 진력하는 언론..
포토뉴스
지역
한국자유총연맹 의령군지회, 천광학교 체험학습 서포터즈 봉사활동 전개..
기고
장산 신경환(경남향토사 이사, 의령지회장)..
지역사회
9.6 단합여행, 집행부위임 추진 박영묵 고문, 도지부장의 박수근 회장·박원수 국장 위촉장 수여..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재훈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10,729
오늘 방문자 수 : 8,014
총 방문자 수 : 19,435,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