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리에서 오태완 군수는 한국전력공사 진주지사와 의령지사의 통폐합 추진에 대해 반대 뜻을 분명히 밝혔다. 오 군수는 우선 한전이 공기업의 책임을 다하지 못한 처사이자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지역민과 조금의 소통도 없이 일방적으로, 급작스레 추진하는 이번 통폐합은 원천 무효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 군수는 “부채에 흔들리는 공기업이 작은 도시 의령을 희생양으로 삼았다”라며 다소 수위 높은 발언으로 한전의 행태를 꼬집었다. 그러면서 인구수, 전력 판매량 등 의령보다 하위 지역이 전국에 20곳 가까이 있다는 점을 들어 한전이 의령을 통폐합 지역으로 지정한 것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냈다.
한전은 의령이 시범지구에 선정된 것에 대해 인구수, 교통량, 업무량, 생활여건 등 여러 요소가 고려됐음을 밝혔다. 통폐합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광역화로 효율화를 가져와 의령에 더 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하여 이미화 부군수는 “광역화는 말장난”이라며 “통폐합이 맞다”라고 응수했다. 한전이 관할구역을 넓게 가져가 효율성을 높인다는 계획은 의령이 가진 인력과 자원을 빼가는 결과로 귀결될 것이라고 했다. 이 부군수는 “한전이 내세운 인구수, 생활여건 등이 다른 자치단체보다 의령군이 나쁘다는 구체적 데이터가 전혀 없다”라며 “납득할 수 있는 자료부터 준비하고 오늘 만남에 나오셔야 했다”고 꼬집었다.
한전이 의령에 남길 바란다는 절절한 호소도 이어졌다. 오 군수는 “소멸위기 의령을 위해 정중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 부군수는 “효율성뿐만이 아니라 한전이 의령군민에게 주는 상징성을 고려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한전 박창률 조직실장은 “조직평가 기준에 따라 오래 전부터 준비한 결론이 의령군이었다”라며 “의령지점이 되더라도 한전이 의령을 떠나는 것이 아니다. 주민이 느끼는 차이는 없다”고 말했다. 한전은 주민설명회 개최를 요구하는 등 설득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 9월 29일 의령군청 2층 회의실에서 의령군과 관계기관, 사회단체장 30여 명과 함께 한국전력 의령지사 통·폐합 반대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서에서 “의령군은 전력사업의 광역화를 통한 인력운영의 적정성과 효율성 제고를 이유로 추진 중인 한국전력 의령지사와 진주지사와의 통·폐합 추진 계획을 적극 반대하며 이를 즉각 철회할 것을 전 군민의 이름으로 강력히 촉구한다”며 “의령군은 인구는 적지만 경남의 중심에 위치한 교통의 중심지 이자 송전철탑 의령 345kV 96기, 구룡154kV 52기, D/L 12개소를 보유하고 있어 전력사업의 요충지라 할 수 있다. 또한 첨단 제조 및 유통물류 중심의 기업 유치를 위해 부림일반산업단지와 대의일반산업단지를 조성 중에 있고,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함양↔의령↔울산간 고속국도를 2024년 개통 목표로 건설 중에 있으며 경남 미래교육테마파크 조성 등 대규모 공사를 발주하는 등 향후 전력사용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전 의령지사 통폐합은 지난 2019년 4월에도 표명돼 의령군에서는 의령발전협의회 등 사회단체의 한전 본사 항의 방문과 성명서 발표 등 다양한 반발에 부딪혀 통폐합 논의가 중단되는가 했으나 또 다시 뜬금없이 재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 반발이 고조되고 있다. 의령신문은 지난 2019년 4월 10일(517호 15면)에 ‘한전 의령지사 폐쇄 추진’ 제목 등으로 보도를 한 바 있다.
당시 김주하 한전 의령지사장은 “의령지사를 포함하여 전국 10개소에 대한 폐쇄 여부 검토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7∼8년 전부터 이 같은 방침을 검토해오다 이번에 경영진의 결단에 따라 4월말까지 기본계획을 세우고 그 기본계획에 따라 구체적인 폐쇄 검토에 들어간다”라며 “이 같은 방침은 항간에서 주장하는 현 정부의 탈 원전 등 한전정책 전환에 따른 경영합리화 차원은 아니고 자재비 등 여러 복합요인과 현 경영진의 결단으로 이뤄지는 것이다. 의령지사 폐쇄가 결정되면 올해 말까지 기능 조정을 거쳐 내년부터 의령지사는 진주의 지점이나 출장소로 운영되며 인원은 현행 29명에서 10명 안팎으로 조정될 것이다. 또 신시가지에 한전 의령지사 사옥을 위해 20억 원에 매입한 부지 600평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구체화될 것이다”라고 밝히기도 한 바 있다. 전재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