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5-04 11:11:2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전체

“이극로를 키운 주인공은 남저 이우식 선생이었다”

남저 선생 학술발표회
편집부 기자 / 입력 : 2016년 10월 08일

이극로를 키운 주인공은


남저 이우식 선생이었다


남저 선생 학술발표회


박용규 박사 내용 소개


1916년부터 1928년까지


모두 8,890원이나 지원


 


이극로를 독립운동가, 민족 지도자로 키운 주인공이 이우식이었다.


지난 929일 오후 2시 의령군민문화회관 공연장에서 열린 남저 이우식 선생 학술발표회에서 박용규 박사(고려대 한국사연구소)남저 이우식 선생의 생애와 조선어학회 후원활동이라는 주제의 논문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이날 박용규 박사는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는 내용을 상세하게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박용규 박사는 젊은 시절 고향 후배인 이극로의 항일 의지를 간파하여 그를 독립투사, 민족 지도자로 양성하였다라며 이극로의 상하이 동제대학과 베를린대학 학비와 생활비, 활동비 전액을 지원해 주었다. 선진학문을 습득하고서 식민지 조선에 귀국한 이극로는 이우식과 함께 언어독립투쟁을 전개하여 나갔다라고 했다.


이극로는 빈농 출신이었다. 그는 고학생으로 마산 창신학교, 상하이 동제대학, 독일 베를린대학을 다니며 학업을 이수하였다. 그러면서 그는 독립운동전선에 참여하였다라며 현실은 고학생 신분만으로 대학을 졸업할 수 없었다. 막대한 학비와 생활비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누가 이극로의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해 주었는가?”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우식의 지원에 대해 이극로는 1936한 달의 생활비가 오육원에 불과하였고, 위체가 고정된 뒤에도 수업료까지 합하여 생활비가 매월 평균 오십원에 불과하였다. 이것은 곧 당시의 일반 외국유학생학비의 보통 표준으로 3분의 1의 액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학비는 누가 대어 주었느냐 하면, 이우식 씨의 도움이 있었던 것이다”, “나의 학비와 구미 및 조선의 시찰비를 부담하여 주신 이우식 씨의 후의는 영원히 잊지 못하여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우식은 고향 출신인 독립운동가 이극로에게 1916년부터 1928년까지 상해 동제대학과 베를린대학의 학비와 생활비, 활동비 명목으로 총 8,890원을 지원하였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이극로에게 이우식은 영원히 잊지 못할 은인이었다. 이우식은 이극로의 항일 의지를 간파하여 그를 독립투사, 민족 지도자로 양성하였다. 참으로 빛나는 이우식의 업적이었다라고 박용규 박사는 주장했다.


한편, 이날 학술발표회에서는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위원인 배석만 교수가 남저 이우식 선생의 경제생활사와 민생규휼’, 창원대 국어국문학과 이준환 교수가 남저 이우식 선생 소유시기에 발행한 중외일보의 항일관련기사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각각 연구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국가와 독립을 위하여 혁혁한 헌신활동이 있었음에도 그간 여러 사정으로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남저 이우식 선생을 재조명하기 위해 오영호 의령군수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성사되었다. 유종철 기자

편집부 기자 / 입력 : 2016년 10월 08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경남도·의령군 ‘버스 공영제’ 맞손..
“벚꽃 만발한, 이 아름다운 학교가… ” 추억 아프게 되새긴 궁류초 총동창회..
의령군민문화회관 창작 오페라 ‘춘향전’ 공연..
표천길의 애국시 ‘무궁화 꽃이… ’ 낭송 강약 감정이입 주력 대전 임연옥 대상..
봉수초 총동문회 19차 정기총회 성료..
50회 의령홍의장군축제⌜향우 만남의 장⌟에서 고향사랑 기부 4천만 원 ‘잭팟’ 터져..
악보 필사본 두 손으로 부여잡고 제창한 기억의 결정체 송산초 교가..
태양광 발전시설 규제 더 한층 강화..
가족의 사랑과 상처, 그리움과 화해 ‘비손’으로 풀어낸 장구 송철수 이야기..
죽전초 총동문회 11차 정기총회 성료..
포토뉴스
지역
의령군 아동복지 대폭 강화...경남 육아만족도 1위 이어간다 전국최초 '튼튼수당'·'셋째아 양육수당' 든든한 지원 아동급식지원 미취학 아..
기고
기고문(국민연금관리공단 마산지사 전쾌용 지사장) 청렴, 우리의 도리(道理)를 다하는 것에서부터..
지역사회
내년 폐교 앞두고 정기총회 오종석·김성노 회장 이·취임 24대 회장 허경갑, 국장 황주용 감사장, 전 주관기 48회 회장 류영철 공..
상호: 의령신문 / 주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51 / 발행인 : 박해헌 / 편집인 : 박은지
mail: urnews21@hanmail.net / Tel: 055-573-7800 / Fax : 055-573-78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아02493 / 등록일 : 2021년 4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종철
Copyright ⓒ 의령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8,852
오늘 방문자 수 : 4,511
총 방문자 수 : 18,806,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