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굴산>의 한자표기음
조선전기에도 <자굴산>이었다
허만길 문학박사
《의령문화》제25호에서 밝혀
<도굴산>으로 부른 적 없어
어원 <잣골산>에서
<자골산> 거쳐 <자굴산>으로
그동안 의령의 진산(鎭山)인 <자굴산>의 부르는 말과 한자 표기 <闍崛山>과의 사이에 발음의 일치 혹은 불일치의 논란으로 많은 사람들과 각종 문헌과 인터넷 매체와 등산객들에게 큰 혼란을 주어 왔는데, 둘 사이 발음의 불일치를 주장하는 근거는 한자 자전(字典)에 보편적으로 ‘闍’는 ‘도’ 음과 ‘사’ 음으로만 나타나고 ‘자’ 음을 나타낸 자전은 찾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부르는 말 <자굴산>과 한자 표기 <闍崛山> 사이에는 발음 관계가 일치하지 않으며 <자굴산>은 <도굴산>에서 변한 말일 것이라고 주장해 왔던 것이다.
이에 의령군 칠곡면 출신 허만길 문학박사(시인. 전 문교부 편수관)는 의령문화원(원장 허흔도)이 2016년 1월에 발행한 《의령문화》 제25호에 실은 연구논문 <의령 자굴산의 부르는 말과 한자 표기음의 일치성 및 어원 연구>에서 현재 부르는 말 <자굴산>의 한자 표기음은 조선 전기에도 <자굴산>이었으며, <도굴산>으로 불린 적은 없다고 했다. 아울러 허만길 박사는 “더 이상 의령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산 자굴산(闍崛山) 이름과 관련하여 현재와 미래에 혼란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해 주기 바란다.”고 했다.
허만길 박사는 이 논문에서 먼저 한글 표기가 있는 우리나라의 한자 자전은 1909년 이후에 나타나는데, 그러한 한글 표기가 있는 한자 자전에서 <자굴산(闍崛山)>의 한자 표기 가운데 ‘闍’를 ‘도’ 음과 ‘사’ 음으로만 명시한 것이 보편적이고, 1984년 명문당(名文堂)에서 발행한 《명문한한대자전(明文漢韓大字典)》에서 ‘闍’의 ‘자’ 음을 명시한 것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2015년 현재까지도 《재경 의령군향우회60년사》의 책 내용을 비롯해 많은 사람들은 부르는 말 <자굴산>과 한자 표기 <闍崛山> 사이에는 발음이 일치하지 않으며, <자굴산>은 <도굴산>에서 변한 말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현실을 분석했다.
그리고 허만길 박사는 자굴산의 한자 표기 <闍崛山>은 조선 전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년) 등에 나타나며, 조선 전기에 우리나라 조상들은 한자의 뜻과 음의 이해와 활용을 위해 중국에서 편찬한 운서(韻書)와 자전(字典)을 활용했음을 고려하면서, 중국의 《집운(集韻)》(1039년)과 《강희자전(康熙字典)》(1716년)을 직접 연구한 결과 ‘闍’에 ‘자’ 음(之奢切)이 있으며 그 뜻은 ‘성대’(城臺)라는 점을 규명하고서, 조전 전기에도 부르는 말 ‘자굴산’과 한자 표기 ‘闍崛山’ 사이에는 발음이 일치했다고 결론지었다. 여기서 ‘之奢切’(지사절)이 ‘자’ 음이라고 하는 까닭은, 옛날 중국에서 한자음을 표기할 때 반절법(半切法)이라는 방식을 취했는데, ‘之’(지)에서는 초성 ‘ㅈ’을 택하고 ‘奢’(사)에서는 중성 및 종성인 ‘아’을 택하여 ‘자’로써 ‘闍’의 음을 표기한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허만길 박사는 한자어 <자굴산(闍崛山)>의 뜻풀이를 ‘성대(성의 망대) 모양을 한 높은 산’이라고 했다. 허만길 박사는 여기서 유의할 것은 ‘성대’의 뜻을 ‘성문의 망대(성문대)’나 ‘성의 망루(다락집 모양의 망대)’라고 한정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성대는 성문이 없는 곳에도 만들기도 하고, 다락집 모양이 아닌 다른 모양이나 특별한 건물 없이 일반 성곽보다 상대적으로 우뚝 높고 평평한 모양으로 만들기도 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허만길 박사는 <자굴산>의 근원되는 말의 형태 곧 어원
편집부 기자 /  입력 : 2016년 03월 08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