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ㆍ함안ㆍ합천 선거구, 존치돼야”
의령군 의회, 선거구 획정 관련 입장 표명
제20대 총선을 앞두고, 의령군의회 의원들은 의령ㆍ함안ㆍ합천 선거구 통폐합 조정안에 대하여 반대의 뜻을 밝히고, 기존 선거구 존치를 강력히 촉구했다.
의령군의회는 16일 의회 의장실에서 의령ㆍ함안ㆍ합천 선거구 존치를 바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 전문 2면>
의령군의회 오용 의장은 성명서에서 “의령ㆍ함안ㆍ합천 선거구를 없애고 타 선거구에 통폐합ㆍ조정하는 것은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는 의령 군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말했다.
그리고 “의령ㆍ함안ㆍ합천 선거구는 전년도 말 기준으로 인구수가 146,845명으로 선거구 획정 인구 하한선 기준을 충분히 넘어서고 있다”라며 “국회의원이 공석인 지역 선거구를 해체하는 것은 빈집털이식의 개편 희생양으로 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지리적ㆍ역사적으로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는 기존 지역구는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해서라도 농촌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반드시 존치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따라서, 도내 선거구를 조정하려면 의령ㆍ함안ㆍ합천 선거구를 해체시킬 것이 아니라 쟁점이 되는 지역을 우선 선거구 조정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며 선거구 조정은 반드시 군민의 의사를 묻고, 그에 따라서 결정해야 할 것임을 촉구했다.
또, 오 의장은 양산과 같이 분구하는 선거구 확보와 관련하여 수원, 용인, 군포 등 경기도 국회의원의 선거구 추가확보 노력과 대조되게 자기의 이익만을 쫓아 의석 확보에 노력하지 않는 경남 국회의원들을 힐난하게 비판했다.
더구나 경남과 부산의 인구차가 195,078명(2015년말 기준)으로 선거구 인구 상한을 초과하지 않는데도 국회의원 의석이 2석이나 차이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경남의 국회의원 선거구 1석 추가 배정을 강력히 주장했다.
아울러, 기존 선거구 해체는 의령군이 추진하고 있는 “의령 신시가지 조성” 등 서부경남 시대를 맞이하려는 “희망찬 의령 건설”을 염원하는 의령군 미래의지를 꺽는 일이라며,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일임을 거듭 강조했다.
만약, 기존 선거구 유지를 바라는 군민들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주민등록증 반납을 통한 총선 투표 불참 운동을 펼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한편 의령군의회는 지난해 11월 의령ㆍ함안ㆍ합천 선거구 존치를 염원하는 군민의 뜻을 담은 건의안을 국회, 선거구획정위원회, 여야 당대표 등 관련기관에 전달한 바 있다.
의령선거구 연혁
구 분 |
선 거 구 |
변경일 |
비 고 |
제1대 |
①의령군 ②함안군 ③합천군 갑․을 |
1948.12.23 |
|
제2대~제5대 |
①의령군 ②함안군 ③합천군 갑․을 |
1950. 4.12 |
|
제6대~제7대 |
①의령․함안군 ②산청․합천 |
1963. 1.16 |
|
제8대 |
①의령․함안군 ②합천군 |
1969. 1.23 |
|
제9대~제12대 |
①의령․함안․합천군 |
1972.12.30 |
|
제13대~제14대 |
①의령․함안군 ②합천군 |
1988. 3.17 |
|
제15대 |
①의령․함안군 ②거창․합천군 |
1996. 2. 6 |
|
제16대 |
①의령․함안군 ②산청․합천군 |
2000. 2.16 |
< |
편집부 기자 /  입력 : 2016년 02월 29일
- Copyrights ⓒ의령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